女기계체조 도마 金… 3관왕
압도적 점프… 美 첫 도마 우승관중·취재진들 인기 한 몸에
北 홍은정, 엉덩방아 찧어 6위

EPA 연합뉴스
홍은정 북한 체조선수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먼저 시합에 나선 것은 홍은정이었다. 그는 이날 경기가 열린 리우올림픽 아레나에서 8명의 선수 중 첫 번째로 시합을 펼쳤다. 그는 신중하게 1차 시도를 했지만 착지에서 발이 밀리며 불안한 모습을 보여 줬다. 점수는 15.400점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구름판이 마음에 안 들었는지 김춘필(55) 북한 여자 기계체조팀 감독과 함께 한참 동안 위치를 조정했다. 홍은정은 심기일전해 두 번째 시도에 나섰지만 착지 과정에서 엉덩방아를 찧는 큰 실수를 범했다. 1·2차 시도 평균은 14.900점이었다. 홍은정은 낙심한 표정으로 곧바로 바닥에 주저앉아 다리의 테이핑을 제거했다.
바일스는 마지막 순번인 8번째로 경기장에 나섰다. 강력한 우승 후보인 바일스의 차례가 돌아오자 장내에는 성조기가 나부끼고 바일스를 연호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때 이미 메달권에서 밀려나 있던 홍은정도 자리를 지키며 바일스의 경기를 유심히 지켜봤다. 모두가 숨을 죽인 가운데 바일스가 다른 선수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프 이후 깔끔한 착지를 선보였다. 그의 군더더기 없는 동작에 기자석에서도 ‘대단하다’(so good), ‘끝났다’(it´s over)라는 탄성이 쏟아졌다. 2차 시도도 깔끔하게 마무리 지은 바일스는 1·2차 평균. 15.966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 5연패를 노리는 바일스는 도마가 가장 취약한 종목으로 꼽혔지만 2위와 무려 0.713점 차이가 나는 압도적 경기력으로 세간의 우려를 날려버렸다. 경기장은 한목소리로 바일스를 외쳤다.
경기가 끝난 뒤 홍은정은 약간 찡그린 얼굴로 믹스트존(공동취재구역)에 나타났다. 예선전에서는 취재진을 피해 이곳을 건너뛰었던 홍은정은 처음 들어와 본 믹스트존에서 길을 헤맸다. 그러던 중 취재진으로부터 ‘경기 소감을 말해 달라’는 질문을 받았으나 손사래를 치며 대화를 거부한 뒤 곧바로 선수 대기실로 사라졌다.
반면 바일스는 세계 각국의 언론과 인터뷰를 하느라 믹스트존을 통과하는 데만 30분 이상 걸렸다. 믹스트존에서는 보통 육성으로 인터뷰를 하는데 취재진이 너무 몰려 마이크까지 등장할 정도였다. 바일스는 “점수를 보고 해낸 걸 알았다. 도마에서 금메달을 따서 기쁘다.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도마에서 우승한 데 대해) 몰랐지만 이제는 알게 됐다. 매우 좋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렇게 바일스는 ‘체조 여제’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갔다.
리우데자네이루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6-08-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