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속월드컵] 박승희 여자 1,000m 1분18초52로 10위

[빙속월드컵] 박승희 여자 1,000m 1분18초52로 10위

입력 2014-11-23 00:00
수정 2014-11-23 1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시즌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전향하자마자 태극마크를 따낸 소치올림픽 쇼트트랙 2관왕 박승희(22·화성시청)가 여자 1,000m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미지 확대
박승희 ’따라올테면 따라와봐’
박승희 ’따라올테면 따라와봐’ 23일 오후 서울 공릉동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2014-201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1,000m 디비전A(1부리그)에서 박승희가 질주하고 있다. 박승희는 1분18초57에 경기를 마쳤다.
연합뉴스
박승희는 23일 서울 공릉동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2014-201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1,000m 디비전A(1부리그)에서 1분18초52의 기록으로 20명의 출전 선수 중 10위에 올랐다.

앞서 15일 일본 오비히로에서 열린 1차 대회에서 1분17초73의 기록으로 13위에 오른 박승희는 불과 1주일 만에 순위를 세 계단 끌어올리며 개인 최초로 디비전A ‘톱10’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이날 박승희의 기록은 1차 대회에서 작성한 자신의 최고 기록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작성한 기록 가운데에는 가장 좋은 것이다.

박승희는 지난달 10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1차 공인기록회에서는 1분20초40의 기록을 냈고, 같은 달 30일 마찬가지로 태릉에서 열린 종별선수권대회에서는 1분21초16을 찍은 바 있다.

불과 한 달 보름 만에 태릉에서의 개인 기록을 2초 가까이 끌어내린 것이다.

한편 ‘빙속 여제’ 이상화(서울시청)은 컨디션 관리 차원에서 이날 여자 1,000m에는 불참했다.

우승은 1분16초95로 태릉 트랙 신기록을 작성한 리치스(중국)가 차지했다.

리치스는 이상화가 지난해 10월 종별선수권대회에서 작성한 종전 트랙기록(1분17초05)을 0.1초 단축하며 태릉에서 최초로 1분16초대 기록을 냈다.

마리트 레인스트라(네덜란드·1분17초06)와 카롤리나 에르바노바(체코·1분17초33)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서울시에서 발생한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발표되어 이목을 끌고 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서초 제1선거구, 국민의힘)은 2025년 6월 20일부터 4개월간 추진된 ‘서울시 폐교증가에 따른 공공활용에 관한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공개하고, 앞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폐교 활용방안과 활용 원칙에 관한 논의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용역은 지난 4월 박상혁 위원장의 제안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착수된 것으로,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이정환 교수(연구기관: ㈜가치경영원)가 책임연구원을 맡아 진행되었다. 연구보고서는 부산산림교육센터와 아트 치요다 3331 등 6개의 국내·외 폐교 활용 사례를 제시한 뒤 폐교 활용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 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① 폐교의 복합용도 개발, ②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폐교재산 활용 종합계획 수립, ③ 폐교 활용방안 수립 시 지역주민 참여 방안 마련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 중 가장 주목되는 내용은 서울시 내 폐교 활용 전반에 대해 서울시민 366명의 의견을 물어본 설문조사 결과이다. 해당 조사는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2025년 7월 31일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