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속월드컵] ‘태릉 유일 37초대·25연속 메달’ 기록 이어간 이상화

[빙속월드컵] ‘태릉 유일 37초대·25연속 메달’ 기록 이어간 이상화

입력 2014-11-23 00:00
수정 2014-11-23 1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빙속 여제’ 이상화(25·서울시청)가 처음으로 국내에서 치른 국제대회에서 다시 한 번 의미 있는 기록들을 연달아 쓰며 홈 팬들에게 뜻깊은 레이스를 선보였다.

이상화는 21∼23일 서울 공릉동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2014-201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에서 여자 500m 디비전A(1부리그) 1차 레이스 은메달, 2차 레이스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1일 1차 레이스에서 38초18의 기록으로 아쉬운 은메달을 따낸 이상화는 22일 2차 레이스에서 바로 37초99의 빼어난 기록을 작성하며 금메달을 탈환했다.

왼쪽 무릎 통증을 참으며 올 시즌을 치르는 중인 이상화는 몸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23일 1,000m는 불참했다. 시범 종목인 팀 스프린트에서만 선을 보이고 대회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비록 1차 레이스에서 2위에 올라 많은 이들이 기대하던 500m 12연속 금메달 행진을 벌이지는 못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이상화가 남긴 기록도 충분히 의미가 깊다.

우선 2차 레이스에서 37초99의 기록을 찍으면서, 이상화는 다시 한 번 ‘태릉 트랙 기록’ 보유자다운 실력을 증명했다.

태릉국제스케이트장의 트랙 기록은 이상화가 지난해 종별선수권대회에서 작성한 37초74다.

이상화는 같은 대회 1차 레이스에서 37초88의 기록으로 종전 최고기록(38초15)을 갈아치웠고, 이튿날 2차 레이스에서 37초74를 찍었다.

이때 세워진 태릉 트랙 기록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치른 캐나다의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37초72)의 최고 기록과 비슷하다.

빙질과 환경 등이 국제 수준에 한참 떨어진다는 태릉국제스케이트장을 올림픽 경기장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려놓은 ‘이상화의 마법’이다.

이상화를 제외하면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여자 500m 37초대 기록을 작성한 선수는 전무하다.

이상화는 이번 대회에서도 2차 레이스에서 37초99만에 결승선을 통과, 태릉에서 자신만이 세울 수 있는 37초대 기록을 세 번째로 작성했다.

아울러 이상화는 여자 500m에서 25연속 메달 행진을 이어갔다.

2011년 12월 네덜란드 헤이렌베인에서 열린 2011-2012 월드컵 3차 대회 500m 2차 레이스에서 4위에 오른 것을 마지막으로, 이상화는 이번 대회까지 한 번도 월드컵 무대 500m에 출전해 시상대에서 내려온 일이 없다.

해당 시즌의 4차 대회와 파이널 대회에서 네 차례 500m 레이스를 펼쳐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를 따냈고, 2012-2013시즌에는 1·4·5·6차 대회와 파이널 대회에 나서 10차례 500m 레이스에서 9개의 금메달과 1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리고 이 시즌 파이널 대회의 2차 레이스부터 올 시즌 1차 대회의 2차 레이스까지 10연속 금메달 행진을 벌였다.

이번 대회 1차 레이스에서 은메달을 따면서 500m의 연속 금메달 행진은 끊겼지만, 메달 행진은 3년 동안 25차례 연속으로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500m에서 연속으로 따낸 25개의 메달 가운데 은메달은 3개, 동메달은 1개다.

무릎 통증을 안고도 좀처럼 경쟁자들에게 추월을 허용하지 않는 이상화의 질주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시선을 끈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서울시 공립 유치원 통학버스 운영률 3%, 사립 유치원은 92%”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지난 5일 제333회 정례회 서울시교육청 안전총괄담당관 정책 질의에서 서울시 관내 공립 유치원의 통학버스 운영률 개선을 통해 학부모의 공립 유치원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교육청이 제출한 ‘서울시 유치원 통학버스 운영 현황’에 따르면 공립 유치원 301개 중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유치원은 10곳으로 운영률이 약 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립 유치원 439곳 중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유치원은 405곳으로 운영률이 무려 92%에 달하며, 공·사립 유치원 간 기본적 인프라 차이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작년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공립 유치원은 9곳이었지만 올해는 10곳으로 단 1곳 늘었다”며 “교육청은 공립 유치원 운영을 통한 통학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공립 유치원 선택권을 확대하자는 목적으로 약 9억 3000여만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사립 유치원에 비해 공립 유치원은 교육비 절감의 효과가 있고 신뢰성 있는 교육과정으로 많은 학부모들이 공립 유치원에 아이를 보내고 싶어 한다”며 “하지만 통학버스가 없다는 이유로
thumbnail - 이효원 서울시의원 “서울시 공립 유치원 통학버스 운영률 3%, 사립 유치원은 92%”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