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빈 병상 67개뿐… 현장은 무너지고 있다

중증 빈 병상 67개뿐… 현장은 무너지고 있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11-17 22:38
수정 2021-11-18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규 확진 3187명… 위중증 522명 또 최다
부스터샷, 60대 4개월·50대 5개월로 단축
당국 “위험 ‘매우 높음’ 때 비상계획 검토”

이미지 확대
서울 코로나19 중환자병상 가동률 80% 넘어…병상부족 현실로
서울 코로나19 중환자병상 가동률 80% 넘어…병상부족 현실로 수도권에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중환자 병상 부족 현상이 우려되는 가운데 17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병상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서울의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345개 가운데 278개는 이미 사용 중이고 67개가 남아있다. 병상 가동률은 80.6%이다. 2021.11.17
연합뉴스
서울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80%를 넘어서면서 병상 부족이 현실화됐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7일 3000명선을 넘었고 위중증 환자도 522명으로 팬데믹 이후 가장 많이 나왔다.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유행상황 위험도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백신 추가접종 간격을 현행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에서 60세 이상은 4개월로, 50대는 5개월 이후로 단축하는 변경안을 내놨다. 그러나 이미 의료 현장의 체감 수준은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어 뒤늦은 대응이란 지적이 나온다.

서울의 중환자 병상 345개 중 빈 병상은 67개뿐으로, 80.6%가 찼다. 경기는 73개, 인천은 20개밖에 남지 않았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2124명)보다 1063명 급증한 3187명이다. 서울에서만 143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위중증 환자가 500명을 넘고 있어 코로나에 취약한 어르신들의 안전을 지켜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며 “60대 이상 고령층은 확진율이 한 달 전에 비해 2배 이상 높아진 데다 위중증 환자의 82%, 사망자의 97%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60세 이상 추가접종 간격을 4개월로 당겨 연내에 고위험군 추가접종을 마무리하면 위중증 급증세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지만, 그때까지 의료체계가 버틸 수 있을지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김우주 고려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미 현장은 감당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고 경고했다.

방역 당국은 중환자실 병상이 75% 이상 차거나 주간 위험도 평가 결과가 ‘매우 높음’이면 긴급평가를 시행해 비상계획 실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날 당국이 제시한 핵심 평가지표는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의료대응 역량 대비 발생비율,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추가접종률이다.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폭우로 물에 잠긴 도시들과 바싹 메마른 땅으로 갈라졌다.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동안, 강원도 강릉 지역은 사상 최악의 가뭄에 직면한 것이다. 강릉의 최대 수원(水源)인 오봉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냈고, 위기 상황으로 여겨지는 저수율 15%선 붕괴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대로 비가 오지 않으면 20일 뒤 강릉시민들은 생활용수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한 방울의 물이라도 아끼기 위한 노력이 도시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평상시 수돗물이 공급되는 소화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소방서 앞마당에는 지름 6미터의 임시저수조가 설치됐다. 일선 병원들도 필수 의료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에 대한 절수 조치를 실시했다. 강릉아산병원 시설팀 관계자는 “환자의 치료 구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주방 설비의 급수량을 40% 줄이고 고가수조의 저수량을 7~10% 낮췄다”고 밝혔다. 새 학기가 시작된 강릉 지역 일선 학교들도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다. 정수기 사용을 막고 생수를 공급하는 한편, 급식 식판은 원주에 있는 세척 업체에 보내는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기도 했다. 사실상 재난 상황으로 치닫
thumbnail -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의료대응 체계에 문제가 생겨 코로나19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못 받고, 일반 환자 진료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면 비상계획을 가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1-11-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