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의 1인 병실 비용이 병원에 따라 많게는 22.5배 정도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대장 수면내시경, 갑상선 초음파 등 비급여 검사는 물론, 진료와는 상관없는 일반진단서 발급 비용조차 2.5배 차이가 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등을 대상으로 상급병실료, 초음파 검사료 등 32개 항목의 비급여 진료비를 조사해 30일 홈페이지(www.hira.or.kr)에 공개했다. 종전까지는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 110곳만이 공개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과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까지 포함돼 총 공개기관수가 336개로 늘어났다.
공개된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는 의료기관 규모가 클수록 높아 상급종합병원이 비교적 비싸고,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은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특히 1인 병실의 경우 가장 싼 대우병원이 하루 2만원인 데 반해 가장 비싼 삼성서울병원은 44만 9000원으로 22.5배 정도 차이가 났다. 3인실은 가장 싼 장흥병원(5000원)과 가장 비싼 분당서울대병원(17만 9000원)의 가격 차가 무려 36배에 달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료는 최저가 3만원(강릉의료원)에서 최고가 18만 5400원(분당차병원)까지 6.2배 차이 났고, 치과 임플란트는 최저가 35만원(강릉의료원)부터 최고가 404만 7000원까지 11.6배 차이 났다.
이 밖에 양수염색체검사료·자기공명영상(MRI)촬영·다빈치로봇수술료 등도 병원에 따라 많게는 20배 이상 비용 차이가 났고, 일반 장애진단서 발급 비용조차 5000원 하는 병원부터 10만원 하는 병원까지 천차만별이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등을 대상으로 상급병실료, 초음파 검사료 등 32개 항목의 비급여 진료비를 조사해 30일 홈페이지(www.hira.or.kr)에 공개했다. 종전까지는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 110곳만이 공개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과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까지 포함돼 총 공개기관수가 336개로 늘어났다.
공개된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는 의료기관 규모가 클수록 높아 상급종합병원이 비교적 비싸고,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은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특히 1인 병실의 경우 가장 싼 대우병원이 하루 2만원인 데 반해 가장 비싼 삼성서울병원은 44만 9000원으로 22.5배 정도 차이가 났다. 3인실은 가장 싼 장흥병원(5000원)과 가장 비싼 분당서울대병원(17만 9000원)의 가격 차가 무려 36배에 달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료는 최저가 3만원(강릉의료원)에서 최고가 18만 5400원(분당차병원)까지 6.2배 차이 났고, 치과 임플란트는 최저가 35만원(강릉의료원)부터 최고가 404만 7000원까지 11.6배 차이 났다.
이 밖에 양수염색체검사료·자기공명영상(MRI)촬영·다빈치로봇수술료 등도 병원에 따라 많게는 20배 이상 비용 차이가 났고, 일반 장애진단서 발급 비용조차 5000원 하는 병원부터 10만원 하는 병원까지 천차만별이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