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조절 유전자 찾았다”<생명硏>

“식욕 조절 유전자 찾았다”<생명硏>

입력 2012-08-07 00:00
수정 2012-08-07 09: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욕을 증진시키는 호르몬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비만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7일 노화과학연구센터 유권 박사 연구팀이 섭식 행동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 ‘신경펩타이드(sNPF)’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mnb(mini brain, 포유류의 DYRK1a)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신경펩타이드는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는 섭식행동 조절 호르몬으로 알려졌으나, 그 분비를 조절하는 기제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다.

사람의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DYRK1a는 다운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가운데 하나로 알려졌을 뿐 그 외의 다른 기능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박사 연구팀은 초파리의 mnb를 자극할 경우 정상 초파리보다 식욕이 왕성해져 먹이 섭취량이 60% 이상 증가했지만, mnb의 발현을 억제할 경우 먹이를 30% 이상 적게 먹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생쥐에 대한 실험에서도 DYRK1a가 자극된 마우스는 하루 평균 먹이 섭취량이 정상 마우스보다 20% 정도 증가했다.

인슐린은 반대로 신경펩타이드가 분비되는 것을 억제해 인슐린을 과량 발현시킨 초파리는 먹이 섭취량이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유 박사는 “mnb가 신호전달 경로를 거쳐서 신경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해 식욕을 증가시키거나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면서 “식이 조절 문제로 발생하는 비만이나 대사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전학 연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PLoS Genetics’ 지난 3일자 인터넷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