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서 공기 질 가장 나쁜 5개국에

한국, 세계서 공기 질 가장 나쁜 5개국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3-24 21:20
수정 2019-03-25 02: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도·中·베트남·남아공과 함께 ‘최악’

韓 석탄발전 46%… 향후 더 늘어 우려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가 전 세계적으로 공기의 질이 가장 나쁜 ‘상위 5개국’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불명예 국가들의 공통점은 높은 석탄발전 비중이 꼽힌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석탄발전소는 당분간 늘어날 예정이라 공기의 질이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된다.

24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표한 2017년 국가별 연평균 미세먼지(PM 2.5) 수치에서 우리나라는 25.1로 집계됐다. 인도(90.2)와 중국(53.5), 베트남(30.3), 남아프리카공화국(25.0)과 함께 ‘최악 5개국’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7.4)이나 일본(11.9)과 비교하면 2~3배 이상 차이가 난다.

특히 이들 상위 5개국은 전체 발전량에서 석탄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남아공의 석탄발전 비중은 87.7%로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인도(76.2%)와 중국(67.1%)도 각각 2위, 4위에 올랐다. 3위인 폴란드(78.7%)의 연평균 미세먼지 수치도 20.9에 달했다. 한국(46.2%)과 베트남(39.1%) 역시 OECD 35개 회원국의 평균 석탄발전 비중(27.2%)은 물론 전 세계 국가의 평균 비중(38.1%)보다도 높았다.

업계 관계자는 “더 큰 문제는 중국과 한국에서 앞으로 석탄발전소가 계속 늘어난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신규 석탄발전소가 내년 2GW(기가와트), 2021년 2GW, 2022년 3GW가 각각 추가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는 중국의 경우 석탄발전 비중을 내년까지 55%로 낮춘다는 계획이지만 앞으로 2~3년 동안 무려 460여기(259GW)의 석탄발전소가 증설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석탄발전 비중은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OECD 회원국 평균보다는 OECD 비(非)회원국 평균(46.3%) 수준”이라면서 “석탄발전 쏠림 현상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3-2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