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하면 ‘유급’ 징계 없다고 해도… 의대생 출석률 2.7%

복귀하면 ‘유급’ 징계 없다고 해도… 의대생 출석률 2.7%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4-08-04 18:10
수정 2024-08-05 06: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0곳 1만 8217명 중 495명 수업
예과 1학년 1.7%뿐… 가장 낮아

이미지 확대
의대 증원 정책과 관련해 전공의 집단 이탈 상황이 계속되며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29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4.7.29대구 연합뉴스
의대 증원 정책과 관련해 전공의 집단 이탈 상황이 계속되며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29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4.7.29대구 연합뉴스
정부가 수업을 거부하는 의과대학생들에게 ‘복귀만 하면 유급을 주지 않겠다’고 제시했지만 의대생들의 출석률은 2.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진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전국 의대생 출석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 재학생 1만 8217명(군복무·질병 등으로 인한 휴학생 제외) 중 실제 수업에 출석하고 있는 학생은 495명으로 집계됐다. 출석률 파악이 어렵다고 밝힌 6개 대학의 출석 학생 수는 제외됐다.

특히 올해 신입생인 예과 1학년은 3191명 중 53명만이 출석한 것으로 집계됐다. 출석률 1.7%로 전체 학년 중 가장 낮았다. 예과 2학년은 2996명 중 88명(2.9%), 본과 1학년은 3095명 중 90명(2.9%)이 출석하는 등 다른 학년의 출석률도 2~3% 수준이었다.

수업을 듣는 학생이 단 한 명도 없는 학교가 4곳이나 됐다. 전체 재학생 267명 중 1명, 446명 중 1명, 215명 중 2명, 544명 중 2명, 242명 중 3명만 출석하는 의대도 있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10일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기 위해 유급 판단 시기를 학기 말이 아닌 학년 말로 조정하고 3학기제나 계절학기 등을 개설할 수 있도록 ‘의대 학사 탄력 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하지만 의대생 복귀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진 의원은 “교육부가 발표한 가이드라인은 의대생들이 복귀했을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로, 실제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실효성이 전혀 없는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2024-08-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