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국공립대 위기는 지역 위기… 일률평가 벗고 세밀한 정책 절실”

“지방 국공립대 위기는 지역 위기… 일률평가 벗고 세밀한 정책 절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5-24 21:40
수정 2022-05-25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호영 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

이미지 확대
이호영(창원대 총장) 전국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
이호영(창원대 총장) 전국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
“실용적인 학과를 만들고 운영하는 일은 사립대가 하고, 국공립대는 기초·보호 학문을 키우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래야 대학들도 균형감 있게 살아날 수 있습니다.”

 학생수가 급격히 줄면서 지방대의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지방에 있는 국공립대의 어려움은 더하다. 인문학이나 순수과학처럼 취업이 어려운 학과들에는 학생들의 발길도 줄고 있다.

 이호영(창원대 총장) 전국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과 국공립대 총장들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장상윤 교육부 차관과 만나 새 정부 고등교육정책 방향에 대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2009년 대학 등록금을 동결한 이후 대학들이 교육부의 재정지원 사업만 바라보고 있다. 교육부가 신입생 충원율을 주요 지표로 삼아 구조조정에 나섰고, 각종 평가에서 아웃풋(성과)이 잘 나오지 않는 대학은 또다시 소외받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방 대학들은 지금을 ‘위기’라고 하지 않는다. ‘붕괴 직전’이라고 할 정도로 심각하다”며 “재정 상태가 열악하고 학생수도 급감하면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부가 일률적인 잣대로 평가하고 지원금을 나눠 주니 붕괴가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며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을 나누고, 국공립대와 사립대를 구분해 거기에 맞춰 세밀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이야기”라고 부연했다.

 이날 국공립대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장 차관은 “지방 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의 위기와 직결되며, 지방 대학과 지자체가 이를 극복하려면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이 내립니다’ 장애인전용 하차벨 음성 안내로 전환, 안전성 높여”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속 문성호 의원(국민의힘·서대문구2)은 최근 시각장애인과 휠체어 탑승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시 승하차 안전 문제에 대해 집중 조명해 개선안을 제안했다.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문 의원은 5분자유발언을 통해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용 개선을 논하는 경우 보통 좌석에만 시선이 집중되는 경우를 지적하며, 실제 중요 문제는 승하차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의원은 교통량이 많은 서울 도심에서 시각장애인 혹은 휠체어 탑승 시민의 버스 승하차를 위해서는 곳곳에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고자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버스 내 장애인전용 하차 버튼을 누르면 지속적으로 울리는 부저음을 음성 안내로 전환해, 하차시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분이 하차합니다. 안전한 하차를 위해 시민 여러분의 배려를 부탁드립니다”라는 안내 방송이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버스정류장 간판에 신호체계에 혼선이 없는 색상의 안내 등이 켜질 수 있도록 설비해 이를 누르면 시각장애인 혹은 휠체어 탑승 시민이 해당 정류장에서 승차할 예정이라는 것을 운전기사님께서 진입 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인지한 운전기사님은 차내 방송 등으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다음 정류장에서 장애인이 내립니다’ 장애인전용 하차벨 음성 안내로 전환, 안전성 높여”

 
2022-05-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