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 ‘모집인원의 74%’ 수시전형으로…학생부 위주 전형은 86.4%로 0.6%P 늘어

4년제 대학 ‘모집인원의 74%’ 수시전형으로…학생부 위주 전형은 86.4%로 0.6%P 늘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7-08-28 22:02
수정 2017-08-28 2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4년제 일반대학 197곳의 전체 모집인원은 34만 9776명이다. 전년도 35만 20명보다 244명 줄었다. 이 가운데 수시모집 인원은 25만 8920명으로 전년도 24만 6891명보다 1만 229명 늘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체 모집인원에서 수시모집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도 70.5%에서 74.0%로 3.5% 포인트 상승했다.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을 묶어 부르는 ‘학생부 위주 전형’ 모집 비율은 수시의 86.4%(22만 3712명)로 지난해 85.8%보다 0.6% 포인트 늘었다.

이 가운데 학생부교과전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54.1%(14만 159명)로 전년도 56.3%보다 2.2% 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학생부종합전형은 32.3%(8만 3553명)로 전년도(29.5%) 대비 2.8% 포인트 올랐다.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와 논술, 실기 등 전형요소로 선발한다. 전형요소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학생부를 100% 반영하는 대학은 80곳이다. 지난해 대비 5곳 증가했다. 60% 이상 반영 대학도 1곳이 증가한 35곳으로 집계됐다. 학생부는 고교 3학년 1학기 성적까지만 반영한다.

학교 유형별로는 국공립대 41곳이 5만 3768명(20.8%)을 선발하고 사립대 156곳이 20만 5152명(79.2%)을 선발한다.
이미지 확대
입학전형 구분에 따른 모집인원은 일반전형이 16곳 12만 8589명(49.7%), 특별전형이 195곳 13만 331명(50.3%)이다.

특별전형을 좀더 세분하면 ‘고른기회전형’으로 145곳에서 1만 6680명, ‘특기자전형’으로 103곳이 6118명, ‘대학별 독자적기준전형’으로 173곳이 8만 932명을 선발한다.

정원외 특별전형에서는 ‘농어촌학생전형’으로 165곳이 8561명, ‘특성화고교 졸업자전형’으로 129곳이 2666명, 장애인 등 대상자전형으로 82곳이 1402명,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전형은 133곳에서 4028명을 선발한다.

특히 37곳의 대학은 수시모집에서 특별전형만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각종 입학정보자료와 언론 보도가 일반전형을 기준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아 수시에서 특별전형만 시행하는 대학들은 잘 알려지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눈여겨보라고 조언했다.

올해 수시에서 논술전형을 치르는 대학이 29곳으로 지난해보다 1곳 늘었다. 그러나 모집인원은 1만 2961명(5.0%)으로 전년도(1만 3689명)보다 1700명가량 줄었다. 이에 따른 경쟁도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정인 서울시의원 “위례선 트램의 성공적 개통 위해 ‘궤도형 대중교통 전용지구’ 법제화 촉구”

서울특별시의회 유정인 의원(국민의힘·송파구 제5선거구)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위례선 트램의 성공적 개통과 안전한 정착을 위해 ‘궤도형 대중교통 전용지구’ 지정 및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유 의원은 “위례신도시는 2013년 첫 입주가 시작된 이후 현재 약 13만 명이 거주하는 수도권 대표 신도시로 자리잡았지만, 지난 12년간 위례신사선·위례과천선·위례선 트램 등 주요 교통망이 줄줄이 지연되며 주민들이 매일 극심한 출퇴근 교통난을 겪어왔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6년 개통 예정인 위례선 트램은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교통 복지 향상·상권 활성화·기후 대응 등 다층적 가치를 지닌 사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례선 트램을 뒷받침할 법적·행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아 주민 불편과 상권 침체, 보행 안전 위협, 신호체계 지연 등 현안이 방치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현행 ‘대중교통 전용지구 설계 및 운영 지침’은 버스형 대중교통 전용지구만 규정하고 있을 뿐, 트램과 같은 궤도형 교통수단을 전제로 한 안전시설·보행환경·상권 활성화 대책은 빠져 있다
thumbnail - 유정인 서울시의원 “위례선 트램의 성공적 개통 위해 ‘궤도형 대중교통 전용지구’ 법제화 촉구”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7-08-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