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서양서 한국 화물선 침수…한국인 선원 8명 등 22명 실종

남대서양서 한국 화물선 침수…한국인 선원 8명 등 22명 실종

입력 2017-04-02 22:08
수정 2017-04-02 2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브라질 공군 등 수색 난항

남미 우루과이 인근 남대서양서 침수 신고와 함께 연락이 두절된 한국 화물선 스텔라 데이지호의 필리핀 국적 선원 2명이 구조됐지만 조모(46) 선장 등 한국인 8명과 필리핀 선원 14명 등 나머지 22명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브라질 당국에 긴급 요청해 브라질 공군의 리우데자네이루기지에서 발진한 C130 수송기가 2일 오후(한국시간) 사고 해역에 도착, 수색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상에서는 국적선 1척과 외국 국적 선박 3척이 실종자 수색 및 구조 활동 중이다. 하지만 사고 해역이 육지에서 3000㎞ 정도 떨어진 망망대해인 데다 파고까지 3~4m로 높아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브라질 해군이 구조용 헬기를 탑재한 구축함 1척을 사고 현장에 출동시켰고, 선사 측도 상선 3척을 현장으로 이동시켰지만 아무리 빨라도 4일 오전에야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교부와 스텔라 데이지호 선사인 폴라리스쉬핑에 따르면 지난 1일 밤 11시 50분까지 사고 해역에서 스텔라 데이지호의 30인승 구명정(동력보트) 2척과 16인승 구명벌(무동력) 4척 가운데 구명정 2척과 구명벌 3척이 각각 발견됐다. 이 중 구명벌 1척에 탑승해 있던 필리핀 선원 2명이 구조됐다. 나머지 구명정과 구명벌에는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아직 발견되지 않은 구명벌 1척에서 미구조 선원들이 발견될지 주목된다.

구조된 선원 진술에 따르면 사고 선박은 침수 직후 침몰됐으며 갑작스러운 침몰로 선원들이 충분한 대피 준비를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26일 브라질 구아이바에서 철광석을 싣고 출발해 우루과이 인근 해역(브라질 산토스 남동방 1550마일)을 항해 중이던 스텔라 데이지호는 지난달 31일 오후 11시 20분쯤 선사 측에 침수 사실을 카카오톡 메시지로 발신한 뒤 연락이 끊겼다.

침수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은 황급히 작성한 메시지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불과 15분 전 보낸 정상적 메시지와는 달리 “긴급 상황입니다. 본선 2번 포트 물이. 샙니ㅏ”라는 긴박한 메시지를 보냈다. 이어 “포트쪽으로 긴급게”, “ㄱ울고 ㅣㅆ습니다”라는 짧은 메시지 2개가 추가로 들어왔다. 선사 측 당직자가 곧바로 “무슨 상황인지요?”라는 메시지를 급히 보냈지만, 그걸로 끝이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4-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