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 양립’ 사회 인식 확산
워킹맘 비중도 64% 역대 최고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최저’
자녀 많고 어릴수록 경력 중단
올해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률과 미성년 자녀를 둔 취업자(워킹맘)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기혼여성 고용률은 67.3%로 지난해보다 1.3% 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취업자 비율도 64.3%로 전년 대비 1.9% 포인트 높아졌다. 18세미만 자녀를 키우는 엄마 10명 중 6.4명 정도가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높았다. 반면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경력 단절 여성은 감소세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 5000명으로 8만 5000명 줄었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등을 위해 직장을 그만둔 경우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의 경력 단절 비율도 1.4%포인트 낮아진 21.3%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낮았다.
다만 자녀가 많을수록, 어릴수록 경력 단절 비율은 상승했다. 자녀가 영유아(6세 이하)일 때 31.6%로 가장 높았고, 7~12세는 18.7%, 13~17세는 11.8%였다. 자녀 숫자별로는 1명일 때 20.2%로 가장 낮고, 2명 22.3%, 3명 이상 23.9%로 높아졌다. 일을 그만둔 사유로는 육아가 49만명(44.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 26만 8000명(24.2%), 임신·출산 24만 4000명(22.1%) 순으로 나타났다.
2025-11-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