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연합뉴스
부산교통공사가 지난해 4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운영 적자를 내며 재정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화에 따른 무임승차 증가와 인건비·운영비 부담이 겹치면서 적자 폭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고, 매년 2000억~3000억 원 규모의 부산시 재정 투입에도 부채비율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실이 부산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는 지난해 기준 4192억원의 적자를 냈다.
2021년 3452억원, 2022년 3441억원, 2023년 3751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4천억원을 넘어섰다.
고령화 여파로 무임승차 인원도 매년 늘고 있다.
2021년 8천만 명 수준에서 2022년 9056만 명, 2023년 1억19만 명, 지난해 1억 757만 명으로 늘었다. 무임승차 손실액도 2021년 1090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1737억원으로 급증했다.
노후 전동차 교체와 시설 개선 사업 등 재정 부담으로 인해 부채 규모는 올해 1조8874억원에서 2029년 2조69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기준 78.7%에 달했다.
부채증가로 부산시의 재정 지원금도 2021년 2978억원, 2022년 2516억원, 2023년 2081억원에서 지난해 381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부산교통공사는 적자 해소 방안으로 도시철도 무임승차 손실 국비 지원 추진 , 노후시설 개선 등 정부 지원사업 국비 확보 , 통합 거리비례제 운임 도입 및 운임 인상 정례화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이 국비 지원 확대에 의존한 것으로, 자구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