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라·고구려·백제 등 삼국시대의 신화와 설화가 살아 숨쉬는 대구 군위군 삼국유사테마파크 전경. 이곳은 단순한 놀이공원이 아닌 역사와 휴식, 체험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이다. 군위는 일연(1206∼1289) 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고장으로 유명하다. 군위군 제공
콘텐츠 부실 등으로 인한 이용객 저조로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대구 군위 삼국유사테마파크가 ‘3대 문화권’ 활성화 사업 지원 사각지대에 놓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군위군이 2023년 7월 경북도에서 대구시로 편입된 이후 3대 문화권 사업으로 예산 1223억원이 투입돼 문을 연 삼국유사테마파크에 대한 지원이 거의 끓기다시피해서다.
3대 문화권 사업은 경북의 유교·가야·신라 등 역사문화자원과 낙동강·백두대간권의 친환경 녹색자원을 ‘관광 자원화하겠다’는 비전을 품고 시작됐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사업비만 2조원 가량이 투입됐다.
경북도는 ‘3대 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 활성화 추진 계획’을 수립, 도 차원의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3대 문화권 사업의 열악한 입지 여건과 컨텐츠의 한계, 코로나19 확산 등이 겹치며 사업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2023년 기준 경북도 내 3대 문화권 사업 누적 적자 규모는 933억여원(41개 시설)에 달했다. 지난해에도 46개 시설 중 39곳의 적자 규모만 288억원에 이른다. 3대 문화권 사업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 열악한 지방재정을 더욱 옥죄고 있다.
이에 도는 최근 ‘3대 문화권 활성화 지원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실시해 관련 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우선 내년 예산에 10억원 반영키로 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2023년 11억여원, 지난해 9억 7000여만원의 적자를 낸 삼국유사테마파크는 군위군의 대구 편입에 따라 ‘홀로서기’를 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경북도의 삼국유사테마파크에 대한 지원은 2021년 아이누리, 2022년 미디어센터 건립비 등 총 60억원을 마지막으로 끓겼다. 대구시의 구체적인 지원 계획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군위군 관계자는 “삼국유사테마파크가 군 출연금에 의존해 근근히 버티고 있는 마당에 외부 지원이 끓길 경우 경영 악화가 심화될 것”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구시 등으로부터 최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