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기준 온열질환자 2004명, 사망 19명
가축 폐사 50만마리에 어류도 46만여마리

입추를 무색하게 무더위가 이어진 지난 7일 축사에서 온도를 낮추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연합뉴스
9일 행정안전부의 ‘국민 안전관리 일일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7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2004명에 달했다. 지난 7일에만 온열질환자 88명이 추가 신고됐지만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5월 이후 누적 사망자는 19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자 중 77.6%는 남성, 22.4%가 여성이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의 31.8%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0.9%), 노숙인을 제외한 무직(14.2%), 농림어업숙련종사자(9.2%)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은 낮에 집중됐지만 열대야로 인해 오후 7시~자정(7.5%), 자정~오전 6시(1.9%), 오전 6~10시(10.2%)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발생 장소로는 작업장(29.4%), 논밭(15.5%) 등 실외가 78.7%를 차지했고 작업장(8.1%), 집(6.9%) 등 실내가 21.3%였다.
올해 6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가축 폐사는 50만 9000여 마리로 집계됐다. 가금류가 47만 5000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돼지도 3만 4000여 마리가 폭염에 쓰러졌다. 수온 상승으로 양식장도 피해가 컸다. 강도다리·넙치 등 어류 46만 7000마리가 폐사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의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내외로 무더위가 이어지고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아울러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천둥·번개가 치고 시간당 20㎜ 내외의 집중 호우가 내리면서 피해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