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노마스크’ 월드컵···“대~한민국” 함성 뒤덮인 광화문 광장

4년 만에 ‘노마스크’ 월드컵···“대~한민국” 함성 뒤덮인 광화문 광장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11-24 20:51
수정 2022-11-25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카타르월드컵 1차전 거리응원에
시민들 태극기·붉은 옷 입고 속속 모여
“거리응원 열리기만 기다려” 기대감
경찰·관계자 인파 관리 만전
202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2022.11.24 안주영 전문기자
202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2022.11.24 안주영 전문기자
우리나라의 2022 카타르월드컵 첫 경기가 열린 24일 시민들은 4년 만에 찾아온 축제에 부푼 기대를 갖고 각양각색의 방법으로 대표팀을 응원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형 행사가 열리지 못했던 터라 서울 광화문광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의 거리 응원전이 펼쳐지는 곳은 몰려든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는 경기 시간이 다가올수록 붉은악마 머리띠와 티셔츠를 입은 시민들이 모여들었다. 오후 6시부터 이미 주 무대 앞 잔디밭은 돗자리를 펴고 일찌감치 자리를 잡은 시민들로 가득 찼다. 경기 안산에서 직장 동료와 함께 광화문광장을 찾은 황영순(63)씨는 “일본이 독일을 이기는 것을 보고 우리나라도 좋은 성적을 거뒀으면 좋겠다는 마음”이라며 “코로나19 이후 모두가 큰 고통을 겪었는데, 이번 월드컵을 통해 20년 전인 2002년 한일월드컵 때처럼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어 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2022.11.24 안주영 전문기자
202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고 있다. 2022.11.24 안주영 전문기자
서울 광진구에서 온 정운규(29)씨는 “코로나19 때문에 그동안 단체 행사가 거의 없었는데 거리두기 해제로 월드컵을 다 같이 응원을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수능을 치른 수험생들도 광화문광장을 찾아 응원 열기를 높였다. 제주에서 온 홍진수(18)씨는 “수능을 마치고 반 친구들과 함께 대표팀을 응원하러 왔다”며 “서울 여행을 온 김에 꼭 참여하려고 별도로 시간을 뺐다”고 전했다.

이태원 참사의 여파로 한 번 취소됐다 재개된 거리 응원인 만큼 경찰과 행사 관계자들은 안전펜스로 응원 구역을 나누고, 그 안에 일정 규모 이상의 인파가 모이면 다른 구역으로 안내했다. 응원 구역 주변으로는 통행로가 별도로 마련됐고, 안내봉과 호루라기로 시민들이 통행 중 멈춰 서는 일이 없도록 했다. 경찰은 인파 관리와 행사장 질서 유지를 위해 광화문광장에 경찰 기동대 등 600여명을 투입했고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도 119구급대와 구조대를 미리 배치했다.
이미지 확대
2022?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있다.2022.11.24안주영 전문기자
2022?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있다.2022.11.24안주영 전문기자
인근 식당들도 스크린을 이용해 중계 화면을 띄우는 등 ‘월드컵 대목’을 앞두고 활기를 띠었다. 종로구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양설아(55)씨는 “거리두기가 풀린 만큼 많은 손님이 올 거라 기대하고 있다”며 “골을 넣을 때마다 전 테이블에 공짜 맥주를 돌릴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붉은악마 티셔츠를 입은 반려동물 인증샷 등 각양각색의 이색 응원 인증사진도 올라왔다. 중국에서 근무하는 최호준(31)씨는 회사 동료들과 함께 주문한 한정판 붉은악마 마스크를 쓰고 식당에서 응원전을 펼쳤다. 최씨는 “중국에 아직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아 마스크를 쓰고도 응원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했다”며 “국민들의 응원에 힘입어 대한민국이 16강에 꼭 진출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