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없는 불상. 문화재청 제공
2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불상은 머리가 없는 상태로 두 조각으로 나누어져 출토됐다. 불상 머리인 불두(佛頭)가 없는데도 크기가 180㎝에 이른다. 문화재청은 부처를 안치하기 위한 대(臺)인 대좌를 포함하면 전체 크기가 460㎝ 이상일 것으로 추정했다.
문화재청은 이 불상이 505㎝인 석굴암 불상보다는 작지만 포항·경주지역 다른 불상과 비교하면 매우 큰 불상이라고 설명했다.
또 석탑기록 등을 분석한 결과 이 불상은 통일신라 문성왕 시기(재위 839∼857)에 제작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문화재청은 금당(절의 본당)의 기단과 함께 녹색 유약을 바른 벽돌인 녹유전이 깔린 바닥도 확인했다.
법광사는 신라 진평왕(579~632)때 원효대사가 왕의 명으로 창건한 사찰로 알려졌다. 사찰 건물은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됐다.
법광사지에 대한 앞선 조사에서는 금동장식과 도깨비 얼굴을 새긴 기와인 귀면와(鬼面瓦) 등 3천여 점의 유물을 발견했다.
문화재청은 발굴성과를 토대로 내년에 관련 학술대회를 열고, 향후 복원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법광사 금당지 전경. 문화재청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한국인 남성과 결혼’ 日여성 “정말 추천”…‘이 모습’에 푹 빠졌다는데 [이런 日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7/SSC_20251107182512_N2.jpg.webp)
![thumbnail - “상공 60m 급강하 앞두고 안전벨트 풀려”…롤러코스터 공포의 순간 찍혔다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08/SSC_20251108113045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