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국방부, 보훈처 등 합동 특조단
희생 2048명 유가족 찾기 활동 결과
현충원 위패 봉안, 이장 적극 지원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추석
지난해 추석 연휴를 앞두고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은 참배객들이 참배하고 있다. 2021.9.11/뉴스1
특조단은 27일 전사·순직 군인 유가족 찾기 중간 현황 발표에서 북한 지역을 제외하고 조사 가능한 전사·순직 군인 1622명 가운데 서류 조사와 전화·대면 상담을 통해 유가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현재 또다른 30명에 대한 검증이 진행중이어서 그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특조단은 설명했다.
지난 1951년 2월 18일 순직한 김모 일병의 아들은 유가족 찾기 소식을 접한뒤 특조단에 연락해 8사단에서 근무했던 부친의 순직 사실을 확인했다. 1955년 8월 30일 순직한 김모 하사의 딸과 손녀는 고인의 유해가 현충원에 안장된 사실을 모른채 제사를 지내오다 67년 만에 이 사실을 알게됐다.
특조단은 유족에게 전사·순직 사실을 알리고 국가유공자 등록심사와 국립묘지 안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직계 유족이 없는 경우에는 국가보훈처가 직권으로 등록절차를 진행한다. 오진영 보훈처 보상정책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보훈제도는 등록신청주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등록 이후부터 유족에 대한 보상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특조단은 당초 1년인 운영기간을 오는 2024년말까지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전사·순직 군인 2048명의 명단과 군번, 출신지역 등은 국민신문고와 육군본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유가족 의사에 따라 현충원 위패 봉안이나 이장 등을 적극 지원하고 직계 유족이 없는 경우에는 국가보훈처가 직권으로 등록절차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