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노동자 2000여명 설문조사코로나19 발생 이후 비정규직 노동자 5명 중 1명꼴로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대다수는 차기 정부에서도 노동자의 처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비정규직 이미지.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비정규직 이미지. 연합뉴스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투쟁은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환경·코로나19 직장생활 변화·새 정부 노동정책 등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5~20일 비정규직 노동자 21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전체 응답자의 67.2%(1428명)는 저임금과 고용 불안으로 직장 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급여 수준(56.8%)이 가장 많았으며 고용불안(25.8%)이 뒤를 이었다. 현재 고용 상태에 대해 74.9%(1590명)는 “고용이 불안하다”고 답했으며 77.1%(1637명)는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했다.
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 이후 본인의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22.9%에 달했다. 그리고 10명 중 1명 이상(11.3%)은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확인한 적 있다는 응답은 39.6%(841명)였는데 격리 기간 중 연차휴가 외의 추가적 유급휴가나 휴업으로 처리했다는 응답은 59.7%(502명)였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노동자 처우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2.3%(1749명)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처우가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7.7%에 그쳤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새 정부가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응답자의 80.6%(중복응답)가 ‘고용안정·비정규직 정규직화’를 꼽았으며 ‘최저임금·연봉 인상’도 응답자의 50.3%가 우선 과제로 택했다.
이들 단체는 다음달 새 정부 출범에 앞서 29~30일 서울 도심에서 1박 2일 노숙투쟁을 할 계획이다. 이들은 29일 종로구 전태일다리에서 시작해 도심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30일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종로구 보신각까지 행진할 예정이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