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반영해 재배지 변동 예측
2070년엔 강원 일부 지역만 생산
귤은 충남·강원 해안에서도 재배

사과 자료사진. 픽사베이
서늘한 기온에서 생육과 품질이 양호한 ‘호냉성’(好冷性) 작물인 사과는 재배지가 감소해 2070년대엔 강원 일부 지역에서만 생산될 것으로 분석됐다. 2090년대엔 국내에서 재배 가능지가 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지원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은 “고품질 사과 생산을 위한 고온 적응성 품종 육성 및 고온 대응 재배법 개발 등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배와 복숭아는 2050년대까지 재배지가 증가한 후 급격히 축소되면서 2090년대엔 강원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해진다.
반면 단감과 감귤은 재배지 확대가 예상된다. 감귤은 2020년 1만 6000㏊까지 재배 면적이 감소했지만 총재배가능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30년 남해안, 2070년 충남 및 강원 해안가와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할 전망이다.
2022-04-1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