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차기 정부 재개발·재건축 확대 기조에 “집값 오르고 부작용 우려”

참여연대, 차기 정부 재개발·재건축 확대 기조에 “집값 오르고 부작용 우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4-11 16:22
수정 2022-04-11 16: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여연대, 윤 정부 재건축·재개발 기조 반대
과거 뉴타운 개발사업 이후 부작용 분석
원주민 쫓겨나고 전셋값 폭등, 투기 조장도
“투기 억제하고 개발이익 환수해야”
참여연대
참여연대
참여연대가 차기 정부의 재개발·재건축 확대 기조와 관련해 집값 상승 등 부작용이 클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참여연대는 11일 서울 종로구 통인동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도시 재정비 사업이었던 ‘뉴타운 개발 사업’의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며 무리한 부동산 정책이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타운 개발 사업은 2002년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이 서울 지역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자 구도심을 ‘뉴타운’으로 선정하고 재개발을 추진했던 도시 개발 사업이다.

참여연대는 뉴타운 사업이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는커녕 원주민과 세입자를 쫓아내는 결과를 냈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 보고서를 보면 뉴타운 사업 지구 26곳에서 사업 이전보다 인구가 약 3%, 가구 수는 1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장위동 뉴타운의 경우 4538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뉴타운 사업을 통해 109㎡(약 33평) 이상의 중대형 고가주택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원주민이 집값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는 게 참여연대의 분석이다.

참여연대는 뉴타운 사업 지구로 선정되기 전부터 꾸준히 집값이 올라 집값 안정 효과도 없었다고 밝혔다.

집값이 오르면서 사업 비용 역시 높아져 분양가와 임대료가 높게 책정됐고 이를 감당하지 못한 원주민이 주변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주변 집값 역시 상승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 빈자리를 투기 세력이 차지해 개발 지역이 투기장으로 변했다고 비판했다.

이주 수요가 폭발하면서 전셋값이 널뛰었던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참여연대가 과거 왕십리 뉴타운 1구역의 세입자 158가구의 전셋값 변화를 조사한 결과 평균 전셋값은 이주 전 약 4353만원에서 이주 후 7176만원으로 64.9% 급등했다고 밝혔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 제2선거구)은 지난 6월 23일 왕십리도선동을 시작으로, 6월 25일 행당1동, 7월 8일 왕십리제2동, 7월 9일 행당2동에서 열린 2025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참석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며 자치 활동의 의미를 함께했다. 주민총회는 각 동의 주민자치회가 주도해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보고하고, 주민 제안 사업에 대해 주민들이 직접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로,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참여 플랫폼이다. 이번 주민총회에서는 자치계획 보고, 분과별 활동 공유, 마을의제 설명 등 다양한 순서가 진행되었으며, 생활안전, 복지, 환경 등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됐다. 구 의원은 각 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며 “주민들이 직접 마을의 일에 참여하고 방향을 정하는 모습이 참 인상 깊었다”면서 “이런 소중한 참여와 열정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편, 구 의원은 매년 성동구 주민총회에 빠짐없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청취하고 있으며, 주민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성동구 4개 동 주민총회 참석해 주민 자치활동 응원

이강훈 참여연대 부집행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민간 공급 위주 재건축·재개발 정책은 과거 뉴타운 개발 사업의 혼란을 재현하고 투기 욕망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면서 “낡은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재개발의 본래 목적에 충실해 투기를 억제하고 개발 이익을 환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