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비원 해고’ 주민동의서에 “아저씨 힘내세요” 응원 남긴 어린이들

‘경비원 해고’ 주민동의서에 “아저씨 힘내세요” 응원 남긴 어린이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1-05-19 15:28
업데이트 2021-05-19 1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안양 아파트, 경비원 18→12명 감축 추진
아이들 응원에 ‘해고 반대’ 돌아선 주민도 있어

이미지 확대
경비원 ‘감원’ 서명 동의서에 적힌 어린이의 응원
경비원 ‘감원’ 서명 동의서에 적힌 어린이의 응원 경기 안양 A아파트의 엘레베이터에 붙은 ‘경비원 감원과 관리원 대체에 따른 서면동의’에 한 어린이는 “경비 아저씨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라고 적었다.
독자 제공
아파트 경비원을 해고에 동의한 어른들을 부끄럽게 만든 어린이들의 메시지가 화제가 되고 있다. 경비원 3분의 1을 줄여 월 1만원 남짓한 세대 관리비를 아끼려 했던 주민들 가운데 일부는 경비원에게 감사와 지지를 보낸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에 반성한다며 해고 반대 의사로 돌아섰다.

경기 안양시 A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지난 14일 각 동 엘리베이터에 경비원 감축 계획에 대한 입주민 의견을 묻는 서면 동의서를 붙였다. 경비원을 줄이고 청소만 전담하는 관리원을 새로 뽑겠다는 내용으로, 주민들이 실명으로 찬반 의견을 표시하도록 했다.
이미지 확대
엘레베이터에 붙은 경비원 ‘감원’ 서명 공지
엘레베이터에 붙은 경비원 ‘감원’ 서명 공지 경기 안양 A아파트의 엘레베이터에는 경비원을 줄이고 청소 전담 관리원을 배치하겠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독자 제공
현재 이 아파트에는 18명의 경비원이 24시간 교대로 일하고 있다. 오는 21일까지 진행되는 주민 투표에서 780세대 중 과반이 동의하면 6명의 경비원이 해고된다. 경비원들은 한 달에 240만원의 급여를 받는데, 6명을 해고하고 하루 7시간 근무하는 청소 관리원 4명(월급 200만원)을 고용하면 아파트는 한 달 관리비 640만원을 아낄 수 있다. 가구당 8200원꼴이다.

40세대가 사는 B동의 경우, 투표 시작 이틀 만에 18명이 경비원 해고에 찬성표를 던졌다. 엘리베이터를 오가며 일하는 경비원들은 자신들이 쫓겨나길 바라는 주민들의 투표 현황을 보고도 아무런 항의도 하지 못했다. 본인이 해고 대상이 되지 않기만을 불안한 마음으로 바랄 뿐이었다.

그날 반전이 일어났다. 한 어린이가 서면 동의서 귀퉁이에 남긴 글귀가 시작이었다. 빼뚤빼뚤한 글씨로 “경비원 아저씨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라고 적은 글 뒤엔 하트 이모티콘이 달렸다. 다른 어린이도 “경비 아저씨, 힘내세요. 화이팅!”이라는 응원문구를 남겼다.

그러자 경비원 인원 감축에 반대하는 주민이 처음으로 나왔다. 찬성에 동그라미를 쳤다가 반대로 돌아선 주민도 있었다. 19일 현재 B동 투표에서만 찬성이 20명, 반대가 4명이다. 한 주민은 어린이들의 응원 글 옆에 “코로나 시대에 한 가정의 가장을 자르면 좋을까요?”라며 주민 설득에 나섰다. 주민 C씨는 “사람을 비용으로 생각하는 어른들과 달리 경비원들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는 아이들에게 감동했다”고 말했다.

관리비 절약 등을 이유로 아파트 경비원들이 집단 해고되는 사례는 계속되고 있다. 서울 노원구 중계그린아파트에서 일하는 경비원 44명 중 16명은 지난달 29일 웃음(^^) 이모티콘이 들어간 문자메시지로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에 분노한 일부 입주민들은 경비원 해고 반대 서명 운동을 벌이고 고용노동부 고발도 준비하고 있다.

경기 광명의 한 아파트는 지난해 11월 경비원을 시켜 경비원 해고에 대한 주민 찬반 의견을 받도록 해 비판을 받았다. 한 대학생 입주민은 “경비 아저씨가 ‘본인을 자르는 데 동의해달라’고 다니게 하는 몰상식한 일을 보며 차마 서명할 수 없었다”는 호소문을 붙이기도 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