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지옥’ 동부구치소 6명 추가 확진...전국 교정시설 1116명 확진

‘생지옥’ 동부구치소 6명 추가 확진...전국 교정시설 1116명 확진

이혜리 기자
입력 2021-01-04 15:52
업데이트 2021-01-04 18: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6차 전수검사

이미지 확대
나란히 걷는 정세균?추미애
나란히 걷는 정세균?추미애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동부구치소에서는 전날 13명의 확진자가 나와 관련 확진자는 총 946명(전국 958명)으로 늘어났다. 2021.1.2/뉴스1
서울 동부구치소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수용자 6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법무부가 수용자 분리 작업 등을 진행 중이지만 확산세가 쉽게 잦아들지 않으면서 초기 방역 실패에 대한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4일 법무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동부구치소 수용자 6명이 추가 확진됐다. 이들은 동부구치소가 시행한 5차 전수조사에서 미결정됐던 수용자 7명 중 일부다. 이에 동부구치소 누적 확진자는 1090명(수용자 1047명, 직원22명, 가족과 지인 등 21명)이다.

이날 추가 확진으로 법무부가 추산한 전국 교정시설 확진 인원은 총 1116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격리 중이거나 격리가 해제된 수용자와 출소자, 직원을 합산한 수치다. 확진 판정을 받고 교정시설에 수용된 수용자는 988명(동부구치소 609명, 경북북부2교도소 342명, 광주교도소 19명, 서울남부교도소 13명, 서울구치소 1명, 강원북부교도소 4명)이다.

이날 제주교도소 직원 1명도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확진자는 동부구치소와는 무관하다. 제주교도소는 수용자와 직원 등 총 88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할 예정이다.

동부구치소도 5일 6차 전수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섯 차례 전수검사에서 계속해서 세자릿수의 무더기 확진자가 발생한 데에는 밀집도가 높은 수용시설 환경과 법무부와 방역당국의 뒤늦은 대응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법무부는 동부구치소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3주만인 지난달 18일 뒤늦게 1차 전수검사를 실시했다. 이에 확진자가 쏟아지자 수용자 분리·분산 수용 대책을 뒤늦게 시행 중이나 확산세가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과 천주교인권위원회는 ‘교정시설 내 수용자 집단감염에 대한 공개질의서’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고 법무부의 늑장 대응을 비판했다. 이들은 “법무부는 동부구치소 최초 감염 발생 34일이 지난 뒤인 지난달 31일에서야 대책 브리핑을 발표했다”면서 “위 대책은 기존에 취해왔던 조치를 일부 보완한 것일 뿐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한지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정시설별 수용인원 비율 및 독거실 보유 현황과 집단감염 발생에 대응하는 매뉴얼이 존재하는지 등을 질의했다. 또 2명의 수용자가 코로나19로 사망한 데 대해서도 수용자의 사망 원인과, 그 과정에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에 대한 경위도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어 사태가 장기화될 시에 교정시설 3단계 거리두기 단계를 연장 여부와 대책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한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지난 2~3일 연달아 동부구치소를 방문하고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들에게 사과의 말을 전했다. 이날 서울고검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한 박범계 법무부 장관 후보자도 동부구치소의 집단감염 확산에 대한 질문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도 “아직 청문도 마치지 못한 후보자일 뿐이라 청문을 통과해 대통령으로부터 임명받게 되면 구상하고 있는 것들을 점검하고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