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지수 108위… 한국 여성들 아직도 슬프다

성평등 지수 108위… 한국 여성들 아직도 슬프다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9-12-17 22:20
수정 2019-12-18 0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 활동 참여·기회 부문은 127위

‘세계 성 격차 보고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우리나라가 세계경제포럼(WEF)이 17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에서 전체 153개국 가운데 108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15위에서 7계단 뛰어올랐지만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렀다. 그만큼 한국이 성 격차가 큰 나라에 속한다는 뜻이다.

WEF는 2006년부터 경제 활동 참여·기회, 교육, 건강·수명 등 통계를 이용해 성별 격차를 지수화한 성 격차 지수(GGI)를 발표한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은 1점 만점에 0.672로 평가됐다.

부문별로는 경제 활동 참여·기회 부문이 127위를 차지했다. 이 부문의 하위 항목인 고위 임원 및 관리직 비율이 142위로 전 세계 최하위 수준이었다. 임금 평등성도 119위에 그쳤다. 남성은 소득이 5만 2100달러(약 6250만원)였지만 여성은 2만 4800달러에 그쳤다. 전체 순위에서 한국은 일본(121위)을 앞섰지만 필리핀(16위)과 중국(106위) 등에 뒤졌다. 전 세계에서 성 격차가 제일 작은 국가는 아이슬란드(1위)였다. 이 나라의 GGI는 0.877이다.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2위)와 핀란드(3위)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페인(8위)과 독일(10위), 프랑스(15위), 영국(21위) 등 유럽지역 국가들이 상위권에 올랐다. 미국은 53위였다.

전 세계에서 성 격차가 가장 큰 나라는 예멘(153위)이었다. 이라크(152위)와 파키스탄(151위), 시리아(150위) 등이 최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WEF는 정치, 경제, 건강, 교육 등에서 성 평등이 실현되는 데 99.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제시한 전망치(108년)보다 줄어든 것이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12-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