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중고 1만1천425명 학교폭력 피해…작년보다 2천여명↑

서울 초중고 1만1천425명 학교폭력 피해…작년보다 2천여명↑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8-29 09:50
수정 2018-08-29 09: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등 피해 응답률 특히 올라…폭력 목격 5천명 늘어난 2만9천명

서울지역 학생 64만6천여명 가운데 학교폭력을 당했다는 학생이 1만1천425명으로 작년보다 25.4% 증가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8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지난 5월 온라인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에는 서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전체 학생(70만343명)의 92.3%인 64만6천669명이 참여했다.

조사결과 작년 2학기부터 현재까지 학교폭력을 당한 적 있다는 학생은 1만1천425명이었다. 작년 1차 조사 때와 비교하면 25.4%(2천320명) 증가했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전체 실태조사 참여 학생 대비 피해 응답자)은 1.8%로 작년에 견줘 0.5%포인트 높아졌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가 4.0%로 작년보다 0.8%포인트 뛰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1.0%와 0.5%로 각각 0.8%포인트와 0.1%포인트 올랐다.

서울시교육청은 “초등학생이 설문을 이해하기 쉽도록 문항을 새로 만들어 적용했고 작년 2학기부터로 대상기간을 늘려 학교폭력 피해 응답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학교폭력 피해 유형 응답은 언어폭력(35.1%), 집단따돌림(17.6%), 스토킹(12.2%), 신체폭행(10.3%), 사이버괴롭힘(10.2%) 순으로 많았다.

최근 점차 심각해지는 사이버괴롬힘은 중·고교에서 비중(중학교 15.2%·고등학교 15.7%)이 초등학교(8.2%)보다 높았다.

피해장소는 학교 밖(27.9%)보다 학교 안(65.2%)이 많았다.

피해시각은 쉬는시간(31.8%), 하교 후(16.3%), 점심시간(15.7%), 수업시간(8.8%) 순이었다.

가해자는 ‘같은 학교 같은 반’이 46.4%로 최다였고 ‘같은 학교 같은 학년’(32.6%)과 ‘같은 학교 다른 학년’(6.5%) 등 같은 학교 학생이 대다수였다.

학교폭력을 당한 후 신고했다는 비율은 80.5%로 작년보다 0.7%포인트 올랐다.

학교폭력을 목격했다는 응답자는 2만9천455명으로 작년보다 22.4%(5천383명) 늘어났다. 목격 후 ‘신고하거나 도와줬다’는 비율은 67.3%였고 ‘모른 척했다’는 31.5%였다. 모른 척했다는 비율이 작년보다 10.1%포인트 늘어나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예방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자신이 학교폭력 가해자라고 응답한 학생은 2천756명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서울시에서 발생한 폐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발표되어 이목을 끌고 있다.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서초 제1선거구, 국민의힘)은 2025년 6월 20일부터 4개월간 추진된 ‘서울시 폐교증가에 따른 공공활용에 관한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를 공개하고, 앞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폐교 활용방안과 활용 원칙에 관한 논의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용역은 지난 4월 박상혁 위원장의 제안으로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착수된 것으로,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이정환 교수(연구기관: ㈜가치경영원)가 책임연구원을 맡아 진행되었다. 연구보고서는 부산산림교육센터와 아트 치요다 3331 등 6개의 국내·외 폐교 활용 사례를 제시한 뒤 폐교 활용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 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① 폐교의 복합용도 개발, ②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폐교재산 활용 종합계획 수립, ③ 폐교 활용방안 수립 시 지역주민 참여 방안 마련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 중 가장 주목되는 내용은 서울시 내 폐교 활용 전반에 대해 서울시민 366명의 의견을 물어본 설문조사 결과이다. 해당 조사는 연구용역의 일환으로 2025년 7월 31일
thumbnail -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서울시민 44.5%, “폐교는 일자리 지원·민간 상업시설로 활용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