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초 인터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위해 미국 자전거 횡단 나선 청년들

[100초 인터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위해 미국 자전거 횡단 나선 청년들

문성호 기자
입력 2018-08-13 17:48
수정 2018-10-30 09: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백현재(25·백석대, 좌) 이호준(22·인천대, 우)씨가 지난 2일 시카고 소재 리글리 빌딩 앞에서 수요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백현재(25·백석대, 좌) 이호준(22·인천대, 우)씨가 지난 2일 시카고 소재 리글리 빌딩 앞에서 수요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1991년 김학순 할머니가 세상 밖으로 나오셨던 용기가 지금 우리를 이 자리에 있게 만든 것 같아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청년들이 있다.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백현재(25·백석대), 이호준(22·인천대)씨가 그 주인공이다. 80일 동안 미대륙 6600km를 달리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실상을 고발하고 있는 두 사람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는 지난 8일 질문지를 보내고, 현지에서 두 사람이 직접 영상을 찍어 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트리플 에이 프로젝트는 2015년 독도경비대 출신의 한 청년을 시작으로 올해로 4년째 이어지고 있다. 트리플 에이는 ‘Admit’(2차 대전 당시 식민지 여성들에게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Apologize’(일본 정부는 심각한 인권 유린 범죄에 대해 진정 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 ‘Accompany’(위안부 할머니들의 혼과 마음을 안고 동행한다)라는 세 영어 단어의 머릿자를 딴 프로젝트다.

백씨와 이씨가 도전에 나선 건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고통과 실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다. 백씨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애쓰는 ‘소녀상 지킴이’와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활동가들을 보면서 내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역사를 기억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필요성을 느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 6월 23일 LA 산타모니카에서 출정식을 한 두 사람은 앨버커키, 오클라호마시티, 캔자스시티, 세인트루이스, 시카고를 지나 현재 피츠버그와 워싱턴DC를 향하고 있다. 최종목적지인 뉴욕을 향해 쉼 없이 페달을 밟고 있는 그들은 벌써 목표 여정의 절반 이상을 달렸다. 그 사이 많은 사람을 만났고, 위안부 피해 문제에 대해 폭넓은 이야기를 나눴다.

두 번의 수요집회도 열었다. 현지인들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좀 더 깊은 관심을 갖도록 만들기 위해서다. 이에 대해 이씨는 “지금까지 LA와 시카고에서 수요집회를 마쳤다. 많은 분이 도와주셔서 잘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앞으로 워싱턴DC, 필라델피아, 뉴욕에서의 수요집회가 더 계획돼 있다. 잘 마무리하고, 웃으며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이호준(22·인천대, 좌), 백현재(25·백석대, 우)씨.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이호준(22·인천대, 좌), 백현재(25·백석대, 우)씨.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물론 이 뜻 깊은 과정에서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었다. 섭씨 40도를 웃도는 폭염이 그들의 육체를 지치게 한 것이다. 그럼에도 이씨는 “한번은 애리조나를 지나면서 고속도로 경찰에게 연락해 도움을 받았다. 더위 때문에 정말 힘들었다. 하지만 그때마다 ‘우리는 놀러 온 것이 아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전하러 왔다’는 생각을 하면서 버텨 냈다. 그 마음이 포기하지 않고 지금까지 잘 달려올 수 있게 한 것 같다”고 전했다.

미대륙 횡단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두 사람은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의 단순한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씨는 “위안부 문제가 여성인권 문제로 다뤄질 때, 더욱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여성인권 문제를 진정성 있게 알릴 수 있는 제삼국인 미국을 택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이호준(22·인천대, 가운데)씨와 백현재(25·백석대, 우)씨, 그리고 뉴욕까지 동행하는 안토니오 나바로씨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미대륙 자전거 횡단에 나선 ‘3A(트리플 에이) 프로젝트’ 4기 멤버 이호준(22·인천대, 가운데)씨와 백현재(25·백석대, 우)씨, 그리고 뉴욕까지 동행하는 안토니오 나바로씨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백현재, 이호준)
이 과정에 두 사람은 특별한 동지를 만났다. 시카고에서 만난 현지인 한 명이 이들과 뜻을 함께해 뉴욕까지 동행하기로 한 것이다. 안토니오 나바로(Antonio Navarro)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는 우연히 한 자전거 커뮤니티에서 두 사람의 사연을 접했고, 곧 합류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안토니오는 “뉴욕까지 가는 길이 쉽지 않고, 사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여성인권 문제라는 점과 이들과 함께라면 완주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동참하기로 마음먹었다”고 전했다.

1991년 8월 14일은 당시 67세였던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날이다. 국내 피해자의 첫 증언이었다. 그리고 27년 세월이 흘렀다. 이에 백씨는 “현재 국내 생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스물일곱 분이다. 그들을 조금이나마 위로하고, 그들의 아픔에 공감할 수 있도록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많이 기억하면 좋겠다. 남은 기간 한 사람이라도 더 만나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각오를 전했다.

이들은 현재 시카고를 지나 피츠버그, 워싱턴DC, 필라델피아, 뉴욕으로 향하는 여정 한가운데에 있다. 이 길을 자동차나 오토바이로 횡단할 수도 있지만, 이들은 자전거를 선택했다. 자전거를 탈 때 느끼는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고통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단다. 이렇게 대한민국 청년 백현재씨와 이호준씨는 지금 이 순간에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아픔을 위무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힘차게 페달을 밟고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