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3권·노조할 권리 보장 촉구
전태일 열사 47주기인 13일 전국 각지에서 노동 3권(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등 노동기본권에 대한 요구가 이어졌다. 전태일 열사는 1970년 이날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고 외치며 분신했다.전국 100여개 노동 단체로 구성된 ‘노조 하기 좋은 세상 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기본권과 노조를 할 권리를 보장할 것을 정부와 재계에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사회적 선언문을 통해 “노동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 노동 존중은 기만이고 껍데기”라면서 “여성, 청년, 장애인, 이주노동자들이 노조를 통해 제 목소리를 내는 것은 평등한 세상을 앞당기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김욱동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전태일 열사를 기리면서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고자 모였다. 모든 노동자에게 노조를 할 권리를 선언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사회적 선언에는 교수 128명, 문화예술인 143명, 법조인 86명, 시민사회·노동사회·민중단체 소속 448명, 정당인 189명, 종교인 84명, 학생 90명, 노동자 246명, 온라인 서명 참여자 464명 등 사회 각계 인사 1878명이 이름을 올렸다.
경기 남양주 모란공원 전태일 열사 묘역에서 열린 47주기 추모식에서도 노동기본권 보장 요구는 이어졌다. 추모식에는 전태일 열사의 유가족인 전순옥 더불어민주당 소상공인특별위원장을 비롯해 같은 당 이용득 의원, 정의당 노회찬·심상정 의원,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 등이 참석했다.
이수호 전태일재단 이사장은 “이번 정부가 노동 존중 사회를 목표로 내걸면서 전태일 열사를 더욱 뜻깊게 돌아보는 한 해다”며 “하지만 여전히 많은 노동자들이 높은 광고탑이나 굴뚝에 올라가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최 직무대행은 “노조 조직율이 낮고, 노동 3권이 없는 나라는 민주주의 국가라고 볼 수 없다”며 “노동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는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며 “온전하게 노조를 할 권리가 확보되는 등 노동 존중 사회를 앞당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7-11-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