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이 끝난 뒤’ 詩 들으며 떠나다

‘연극이 끝난 뒤’ 詩 들으며 떠나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7-09-07 22:38
수정 2017-09-08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故 마광수 전 교수 영결식

고 마광수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세상과 마지막 작별을 고했다.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 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의 발인이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 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의 발인이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고인의 영결식이 열린 7일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병원 장례식장은 분노 섞인 울음과 흐느낌으로 가득했다. 한 시간가량 진행된 영결식에는 연세대 13학번 제자의 트럼펫 연주곡 ‘대니 보이’가 울려 퍼졌다.

마 전 교수의 제자인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추도사에서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학생들도 선생님의 사고방식과 자유로움, 해박함에는 고개를 숙였던 것을 기억한다”면서 “선생님은 늘 가면을 벗을 솔직함을 강조했고, 그렇게 살아 오셨다”고 눈물지었다. 마 전 교수의 제자이자 마 전 교수가 필화를 겪게 한 그의 소설 ‘즐거운 사라’ 영화 제작을 추진했던 임장미 감독은 “(마 전 교수의 죽음은)사회적 타살”이라면서 “답답한 대한민국의 위선과 가식을 벗어던진 순수한 영혼이었던 사람을 감옥에 가둔 이 사회를 용서할 수 없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날 영결식에도 문학계 인사들은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1992년 ‘즐거운 사라’ 필화 사건 당시 책을 낸 출판사 청하의 편집위원으로 고인 구명운동을 벌였던 하재봉 시인과 소설가 하일지, 김별아 정도가 눈에 띄었다. 다른 참석자들은 대부분 가족과 지인들, 그가 가르쳤던 1980년대 제자들이었다. 마 전 교수의 고교 동창이자 최근까지 가깝게 지냈던 심강일(67)씨는 마 전 교수의 생전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의 시 ‘연극이 끝난 뒤’를 추도시로 낭송하며 친구를 떠나보냈다.

“헤어지는 것을 아쉬워하나요/ 잊혀질 것을 두려워하나요/ 아 어차피 인생은 연극인 것을/ 우리의 그 마지막 대사를/ 다시 한 번 외어 보아요/ 그래, 정말 보람이 있었수?”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7-09-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