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알’ PD가 공개한 친일파와 독립운동 후손의 집

‘그알’ PD가 공개한 친일파와 독립운동 후손의 집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7-08-14 16:49
수정 2017-08-14 16: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친일(왼쪽)과 독립운동의 결과. 배정훈 PD 트위터
친일(왼쪽)과 독립운동의 결과. 배정훈 PD 트위터
SBS ‘그것이 알고싶다’의 배정훈 PD가 친일파와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을 단적으로 비교하는 사진을 공개했다.

배 PD는 지난 13일 자신의 트위터에 “하나는 ‘친일파 후손’의 집, 다른 하나는 독립을 갈망하다 ‘빨갱이 자식’으로 평생을 숨죽여 살아온 집”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 두장을 올렸다.

첫 사진에는 한 부유한 동네로 보이는 곳에 있는 담장 높은 저택이 보인다. 현관문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사진에는 차고로 추정되는 곳의 출입구가 보인다.
친일파 후손의 집. 배정훈 PD 트위터
친일파 후손의 집. 배정훈 PD 트위터
반면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은 어느 시골 마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낡고 허름한 집은 제대로 된 담벼락이나 현관문도 없다.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 배정훈 PD 트위터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 배정훈 PD 트위터
배 PD는 “어디에서부터 이 두 집안 사이에 놓였을 격차를 이해해야 할까”라며 “적폐의 대물림 앞에서도, 자비가 필요한 걸까”라고 지적했다.

이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친일파 청산과 독립운동가 후손에 대한 보상 등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 또한 지난 6월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겪고 있는 가난과 서러움, 교육받지 못한 억울함, 그 부끄럽고 죄송스러운 현실을 그대로 두고 나라다운 나라라고 할 수 없다”며 독립운동가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독립운동 유공자 및 유족,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와 위안부 피해자 등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독립유공자의 건강과 후손들의 안정적인 생활 보장, 장례 의전 확대 등 마지막까지 예우를 다하는 국가를 만들겠다는 각오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