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 소리 거슬려” 쪽지… “민감한 공시오패스” 불쾌
“노량진 고시촌의 독서실에서 공부하다 한두 번 화장실에 다녀오면 어김없이 ‘너무 돌아다닌다’는 쪽지가 자리에 붙어 있습니다. 옆 사람에게 ‘책장 넘기는 소리가 거슬리니 조용히 하라’는 얘기도 들었죠. 과도하게 예민한 사람이 많아 학원 자습실이나 카페를 이용합니다.”-공무원시험 준비생 김모(21)씨최근 고시촌 독서실이나 기말고사 기간인 대학 도서관에는 ‘소음 전쟁’이 한창이다. 한쪽 주장은 ‘함께 공부하는 공간이니 소음 에티켓을 지켜 달라’는 것으로 언뜻 보면 당연한 얘기다. 하지만 다른 쪽에선 ‘책장 소리, 편한 복장 같은 도서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조차 참지 못한다’고 맞선다. 과도하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들을 ‘프로처럼 불평을 늘어놓는다’는 의미로 ‘프로불편러’라고 부른다. 혹자는 다른 이의 권리를 침해하면서도 가책을 느끼지 못하는 소시오패스에 빗대 ‘공시오패스’(공무원시험+소시오패스)라고도 한다.
●겉옷 벗기·가방 열어두기 규정도
소음 규정을 만드는 고시촌 독서실도 있다. 독서실에 들어갈 때는 겉옷을 벗고 가방을 미리 열어놔야 한다. 안에서는 기침을 하거나 코를 훌쩍이는 것도 금지다. 서울 신림동 고시촌에서 사법시험을 준비했던 임모(31)씨는 “펜을 내려놓을 때 책상에 부딪히는 소리가 난다며 책상에 수건을 깔고 펜을 놓아야 한다는 규정도 있었다”며 “미세한 소리에도 예민한 사람이 있으면 대다수 학생이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신경을 쓰느라 외려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대학 도서관은 시험 기간만 되면 쪽지 전쟁터가 된다. 사립대 로스쿨생 김모(31)씨는 “도서관에서 다음주 기말고사 준비를 하는데 누군가가 ‘의자에서 소리가 나니 주의해 달라’는 쪽지를 붙이고 도망갔다”며 “나름 최대한 소리를 안 내려고 노력하는데 마치 남에게 피해나 주는 사람으로 매도하니 불쾌했다”고 당시의 기분을 떠올렸다.
●“개인 답답한 감정 해소 못한 탓”
공무원시험 경쟁률이 갈수록 높아지고 대학의 학점 경쟁도 치열해지면서 작은 소리에도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이들이 많다. 노량진에서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황모(27)씨는 “모의고사 성적이 잘 안 나오거나 공부가 잘 안 될 때는 다른 사람이 내는 소리가 거슬린다”고 했다.
사립대 로스쿨생 김모(32)씨는 “도서관이나 독서실의 좁은 책상에 앉아 하루 종일 공부하는 것이 답답하고 억울할 때가 있다”며 “이런 감정을 해소하지 못해 괜스레 다른 사람이 내는 소리에 시비를 걸고 책임을 전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6-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