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숙인 절반 이상 근로능력 OK…일자리 지원한다

서울 노숙인 절반 이상 근로능력 OK…일자리 지원한다

입력 2017-03-28 11:18
수정 2017-03-28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는 노숙인과 쪽방 주민을 대상으로 한 근로능력 평가결과에 따라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시가 노숙인 시설과 쪽방에 사는 노숙인 6천99명을 상대로 조사·평가해 5단계로 분류한 결과 근로능력이 있는 A·B·C 그룹은 3천322명으로 전체의 55%로 나타났다.

시는 이들에게 먼저 민간일자리와 일자리 갖기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일자리 갖기 사업은 근로능력을 갖춘 노숙인에게 지원하는 민간취업 전 단계의 일자리다. 공원 청소, 장애인 작업장 보조, 사무 보조 같은 일을 한다.

근로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평가된 D·E 그룹 2천747명(45%)은 공동·자활작업장을 우선 지원한다.

공동작업장은 쇼핑백 접기, 양초 제작, 전기제품 포장, 장난감 조립 등 단순 노무 형태의 가내수공업이 이뤄지는 곳이다. 올해 2곳을 늘려 서울 시내 총 16곳에서 470명의 노숙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올해 조사는 전체 노숙인 6천725명 가운데 약 90%가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올해 2천600개의 노숙인 일자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적인 실적보다는 근로능력 관리와 이에 따른 사례 관리를 강화해 노숙인의 근로 안정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민간일자리 1천150개, 일자리 갖기 사업 21개, 특별자활사업 700개, 작업장 535개 등이다.

시는 “올해 공공일자리에 참여하는 330명의 노숙인을 민간일자리로 전환해 27억여원의 공공예산을 아끼는 한편, 노숙인 자립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5월 23일 서울광장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 박람회’가 열린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