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습자 수색이 먼저” vs “원인 규명 위해 절단 안 돼”

“미수습자 수색이 먼저” vs “원인 규명 위해 절단 안 돼”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03-25 02:02
수정 2017-03-25 0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수습자 가족·나머지 유가족 갈등

객실만 떼내 수색 땐 시간 절반으로 단축
“수습 작업 효율적” vs “선체 훼손 안 돼”
해수부 “기술적으로 선체 절단 불가피”

“미수습자 수색이 먼저다.” vs “사고 원인 규명이 필수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 맞을 준비하는 목포신항
세월호 맞을 준비하는 목포신항 세월호 선체가 안치될 예정인 전남 목포신항에서 24일 오후 컨테이너 정리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세월호가 이곳에 거치되면 선체 부식을 막기 위한 세척과 방역, 안전도 검사 등을 마친 후 본격적인 미수습자 수색작업에 들어간다. 주변에는 컨테이너 57개를 이용해 현장수습본부와 유족들이 머물 공간 등이 마련된다.
목포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세월호 인양 뒤 객실을 조사하는 방법을 두고 희생자 가족 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객실 부분만 떼어내 바로 세워 수색하는 게 미수습자 수습에 훨씬 효율적이라는 의견이지만 나머지 가족들은 선체를 훼손하면 사고 원인 규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8월 ‘세월호 인양선체 정리 기술검토 태스크포스’를 꾸려 희생자 9명의 시신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양하려면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 세운 뒤 작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해수부는 눕혀진 세월호 내부는 아파트 9층 높이(22m)의 수직절벽에 해당하고 3년 동안 거센 바닷속에 있던 탓에 곳곳이 붕괴되거나 함몰 우려가 있어 수습 작업을 하기에 매우 열악하다고 봤다.

하지만 ‘416 가족협의회’ 등 세월호 유가족들은 선체 훼손으로 인해 사고 원인 규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416 가족협의회 인양태스크포스 관계자는 24일 “유가족은 선체 객실 분리에 반대한다”면서 “미수습자 가족들의 의견은 그쪽에 물어봐라”고 말했다. 반면 단원고 조은화·허다윤 학생 등 미수습자 가족들은 “방법은 중요하지 않고 어떻게든 빨리 애들을 찾아 달라”며 필요하다면 객실 분리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시간이다. 배가 누운 상태로 세월호 선체를 훼손하지 않는 이른바 ‘수직진입 방식’으로 수색을 진행할 경우 미수습자를 찾는 데 4개월가량이 걸리는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정부 의견대로 객실을 절단해 세워 진행하면 희생자 수습까지 2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416 가족협의회 요구대로 진행한다면 뒤엉킨 화물을 치우며 수직절벽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 수습해야 해 객실을 떼어내 세웠을 때보다 2~3배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과정에서 시신의 부패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가장 중요한 건 미수습자 수습으로 수색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선체를 절단해야 한다”면서 “기술적으로 불가피하다는 점을 이해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장,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태수 위원장(국민의힘, 성북구 제4선거구)이 지난 7일 마곡코엑스 전시장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어린이박람회’에서 성평등가족 문화 확산을 통해 행복한 사회 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성평등가족부장관이 수여하는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을 수상했다. ‘2025 대한민국 어린이박람회’는 어린이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기를 주제로 한국어린이문화원과 SBS가 주최하고, 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성평등가족부·국방부·농림축산식품부·산림청·소방청·서울시 등이 참여했다. 특히 올해 박람회에서는 양성평등에 기반한 가족문화 조성과 건강한 미래세대 육성에 앞장선 인물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평소 성평등 가족문화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모범적인 실천을 이어왔으며,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올해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수상식이 진행된 마곡코엑스 박람회장에는 많은 어린이와 가족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축하의 박수를 보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모든 어린이와 가족이 존중받는 평등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미리내집 등의 확대를 통해 신혼부부들
thumbnail -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장, ‘2025 대한민국 어린이대상’ 수상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3-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