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청 공무원 이재욱씨 고안
사체 분쇄 뒤 전기 건조·퇴비화매몰 없어 환경 보전·신속 대응

전북도 제공
조류인플루엔자(AI)로 폐사한 가금류를 땅에 묻지 않고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폐사축 열처리기’. 고열로 건조해 바이러스와 세균도 죽인다.
전북도 제공
전북도 제공
29일 전북도에 따르면 AI가 발생하면 농가와 지자체는 살처분한 닭, 오리를 매몰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침출수가 흘러나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기 일쑤다. 수년 전부터 대형 PVC통에 살처분 가금류를 담고 미생물을 주입해 자연적으로 썩도록 하는 방법을 도입했지만 3년 뒤에 다시 꺼내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매몰지 토지는 쓸 수 없고 관리비도 들어간다.

이재욱씨
이씨는 수소문 끝에 이런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장비를 제작하겠다는 업체를 찾아냈다. 경기 화성시에서 부산물 처리기를 제작하는 동남테크다. 이씨와 업체 대표 이택기씨는 2년여 아이디어를 주고받고 수십 차례 시험, 올 초 개발에 성공했다. 특허도 출원했다. 가로 2.5m 세로 6.5m 높이 2.5m 크기의 이 장비는 5t 트럭에 싣고 이동할 수 있다. 한번에 7t(1㎏짜리 닭 7000마리)을 처리할 수 있고 6~8시간 뒤 퇴비가 나온다. 퇴비 무게는 애초보다 40% 줄고 악취도 거의 없다. 180도 고열로 사체를 건조해 세균과 바이러스도 죽는다. 하루 처리량은 28t에 이른다.
장비 제작에는 가금류 사육이 많은 전북도가 2억 5000만원을 지원한 게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 1호기는 올봄부터 투입돼 이미 묻었던 닭·오리를 퇴비로 만들고 있다. 도내 169곳 매몰지 가운데 24곳을 원상회복했다. 이달에는 전북 김제시 금구면에서 AI가 발생하자 출동해 오리 3000마리를 처리했다. 2호기는 전북 고창군이 구입했고 3호기는 익산시가 살 예정이다. 장비 성능과 효과가 소문나면서 타지역 지자체들의 구입과 대여 문의가 잇따른다.
이재욱씨는 “살처분 가축 열처리기는 ▲사체를 매몰하지 않아 환경오염이 없고 ▲신속 대응할 수 있으며 ▲잔재물은 퇴비로 쓸 수 있어 1석3조 효과가 있어 살처분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며 “AI가 유행하는 해외에도 수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6-11-3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