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살처분 닭·오리 매몰 대신 거름 만드는 기계 나왔다

AI 살처분 닭·오리 매몰 대신 거름 만드는 기계 나왔다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16-11-29 22:56
수정 2016-11-30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북도청 공무원 이재욱씨 고안

사체 분쇄 뒤 전기 건조·퇴비화
매몰 없어 환경 보전·신속 대응


이미지 확대
조류인플루엔자(AI)로 폐사한 가금류를 땅에 묻지 않고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폐사축 열처리기’. 고열로 건조해 바이러스와 세균도 죽인다. 전북도 제공
조류인플루엔자(AI)로 폐사한 가금류를 땅에 묻지 않고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폐사축 열처리기’. 고열로 건조해 바이러스와 세균도 죽인다.
전북도 제공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창궐하는 가운데 폐사한 가금류를 땅에 묻지 않고 퇴비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폐사축 열처리기’가 실용화돼 관심이 쏠린다. 폐사축 처리를 고심하던 전북도청 한 공무원의 아이디어를 기업이 받아들여 제작했다.

29일 전북도에 따르면 AI가 발생하면 농가와 지자체는 살처분한 닭, 오리를 매몰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침출수가 흘러나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기 일쑤다. 수년 전부터 대형 PVC통에 살처분 가금류를 담고 미생물을 주입해 자연적으로 썩도록 하는 방법을 도입했지만 3년 뒤에 다시 꺼내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매몰지 토지는 쓸 수 없고 관리비도 들어간다.

이미지 확대
이재욱씨
이재욱씨
이에 전북도청 축산과에 근무하는 이재욱(49·수의6급)씨는 2013년부터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AI 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하게 현장으로 이동해 분쇄한 뒤 전기로 건조, 퇴비를 만드는 장비를 고안했다. 이씨는 “농가들이 폐사한 닭과 오리를 태워서 처리하는 소형 장비를 선호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수소문 끝에 이런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장비를 제작하겠다는 업체를 찾아냈다. 경기 화성시에서 부산물 처리기를 제작하는 동남테크다. 이씨와 업체 대표 이택기씨는 2년여 아이디어를 주고받고 수십 차례 시험, 올 초 개발에 성공했다. 특허도 출원했다. 가로 2.5m 세로 6.5m 높이 2.5m 크기의 이 장비는 5t 트럭에 싣고 이동할 수 있다. 한번에 7t(1㎏짜리 닭 7000마리)을 처리할 수 있고 6~8시간 뒤 퇴비가 나온다. 퇴비 무게는 애초보다 40% 줄고 악취도 거의 없다. 180도 고열로 사체를 건조해 세균과 바이러스도 죽는다. 하루 처리량은 28t에 이른다.

장비 제작에는 가금류 사육이 많은 전북도가 2억 5000만원을 지원한 게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 1호기는 올봄부터 투입돼 이미 묻었던 닭·오리를 퇴비로 만들고 있다. 도내 169곳 매몰지 가운데 24곳을 원상회복했다. 이달에는 전북 김제시 금구면에서 AI가 발생하자 출동해 오리 3000마리를 처리했다. 2호기는 전북 고창군이 구입했고 3호기는 익산시가 살 예정이다. 장비 성능과 효과가 소문나면서 타지역 지자체들의 구입과 대여 문의가 잇따른다.

이재욱씨는 “살처분 가축 열처리기는 ▲사체를 매몰하지 않아 환경오염이 없고 ▲신속 대응할 수 있으며 ▲잔재물은 퇴비로 쓸 수 있어 1석3조 효과가 있어 살처분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며 “AI가 유행하는 해외에도 수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6-11-3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