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31% 입주 25년 넘어… 신축·철거·인테리어 공사 많아
소음 피해 이웃 간 다툼 늘어나… 일부 주민 반대로 공사 중단도“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공사 중 교통 혼잡 등을 이유로 반대해 기숙사 신축이 6개월간 중단됐습니다. 원만히 해결이 됐으면 좋겠는데 어렵네요.”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대학 기숙사 건립이 예정된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 국유지 인근 아파트 단지에 18일 기숙사 건립을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김모(29)씨는 지난 8월부터 집 주변에서 진행되는 2건의 신축 공사로 아침잠을 이룰 수 없다며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주말이면 하루 종일 시끄러워서 아예 다른 곳으로 피신을 갑니다. 1인 가구가 많아서 그런지 봉천동이나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인근에서 노후된 다세대주택을 부수고 원룸을 짓는 곳이 5곳은 족히 되는 거 같아요.”
최근 이사를 앞두고 내부 인테리어를 위해 바닥 철거 작업을 진행한 이모(32)씨는 “집이 6층인데 민원이 쇄도할까 봐 공사 이틀 전에 3층부터 9층까지 일일이 찾아다니며 허락을 받았다”면서 “짜증을 내는 사람도 있었지만 민원 때문에 공사를 시작도 못 하는 경우가 꽤 있다고 인테리어 업자에게 들었다”고 전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소음 민원은 4만 1286건으로 2014년보다 24.2%(1만 11건) 증가했다. 늘어난 민원 중 공사장 소음이 97%(9782건)로 대부분이었다. 2008년부터 서울시 환경분쟁제도를 통해 처리된 사건 602건 중 소음 관련 사건도 68.6%(413건)였다.
건축물 공사 분쟁의 가장 큰 이유는 노후 주택의 증가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동주택 1만 9980동 중 6027동(31%)이 입주한 지 25년이 지났다. 강동구는 노후 공동주택이 전체의 48%나 됐고, 금천·종로·노원구도 45% 이상이었다. 1980년대에 주로 개발된 강남구도 노후 주택 비율이 42%였다.
최창식 한양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서울은 먼지나 소음을 유발할 노후 건축물이 많고 시설 간의 간격도 좁고 과밀화돼 있다”며 “사회적 비용이 다소 발생해도 소음·진동을 줄이는 건설공법을 사용하고 공사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등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10-1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