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에 사는 70대 마을 통장이 한푼 두푼 모은 통장 활동비를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주인공은 나주시 송월동 7통장(금송마을)인 신진옥(73)씨.
지난해 3월부터 마을 통장 일을 맡은 신씨는 이른바 통장 활동비로 받은 돈을 모아 12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신씨는 도농(都農)복합지역 특성상 동(洞)지역이어서 통장으로 불리지만 사실상 농촌 마을이어서 이장(里長)이 더 어울리는 명칭이다.
평소 “부자가 아닌 보통사람의 선행에 늘 감동했다”는 신씨는 “아주 작은 액수의 활동비지만 뭔가 의미 있는 곳에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송월동주민센터는 신씨의 뜻에 따라 관내에 사는 고교생 6명에게 장학금으로 전달했다.
개인택시를 모는 신씨는 평소에도 어려운 이웃이 있으면 늘 작은 정성을 내미는 등 선행을 이어왔다.
또 개인택시에다 통장 일을 하면서도 시가지 청소, 불법 광고물 정비 등 궂은일도 마다치 않았다.
송월동주민센터 관계자는 12일 “어르신이 선행이라고도 할 수 없다며 사진을 찍거나 기탁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힘닿는 데까지 장학금 기탁을 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주인공은 나주시 송월동 7통장(금송마을)인 신진옥(73)씨.
지난해 3월부터 마을 통장 일을 맡은 신씨는 이른바 통장 활동비로 받은 돈을 모아 12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신씨는 도농(都農)복합지역 특성상 동(洞)지역이어서 통장으로 불리지만 사실상 농촌 마을이어서 이장(里長)이 더 어울리는 명칭이다.
평소 “부자가 아닌 보통사람의 선행에 늘 감동했다”는 신씨는 “아주 작은 액수의 활동비지만 뭔가 의미 있는 곳에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송월동주민센터는 신씨의 뜻에 따라 관내에 사는 고교생 6명에게 장학금으로 전달했다.
개인택시를 모는 신씨는 평소에도 어려운 이웃이 있으면 늘 작은 정성을 내미는 등 선행을 이어왔다.
또 개인택시에다 통장 일을 하면서도 시가지 청소, 불법 광고물 정비 등 궂은일도 마다치 않았다.
송월동주민센터 관계자는 12일 “어르신이 선행이라고도 할 수 없다며 사진을 찍거나 기탁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힘닿는 데까지 장학금 기탁을 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