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 허가받고 작업했다” 하청업체, 황산 누출원인 반박

“원청 허가받고 작업했다” 하청업체, 황산 누출원인 반박

입력 2016-06-28 15:04
수정 2016-06-28 15: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려아연 “하청 근로자 과실” vs 하청 한림이엔지 “작업허가서 발급해놓고 딴소리”

28일 울산시 울주군 고려아연 2공장에서 발생한 황산 누출과 관련, 근로자 6명이 다치는 피해를 본 하청업체 측은 사고 원인을 놓고 원청업체 측과 정반대의 주장을 내놨다.

이날 오전 9시 15분께 황산 제조공정 보수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농도 70%가량의 액체 형태의 황산 1천ℓ가량이 유출됐다. 당시 작업을 하던 하도급업체 한림이엔지 소속 김모(60)씨 등 근로자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와 관련해 원청업체인 고려아연 측은 “현장 작업자들이 열면 안 되는 맨홀을 여는 바람에 사고가 났다”면서 “작업 순서를 적은 서류와 작업 배관을 따로 표시한 사진도 나눠줬는데 숙지가 미흡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특히 배관을 자르거나 맨홀을 여는 등 작업을 할 때는 원청 측 담당자에게 보고가 돼야 하는데 이런 절차가 생략됐다”고 말했다.

작업 안전절차에 문제가 있었으며, 일차적인 책임은 하청업체 쪽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설명이다.

그러나 한림이엔지 측 설명은 전혀 달랐다.

사고 당시 다른 작업을 했던 한림이엔지 근로자는 “애초 이번 작업은 고려아연이 배관 속 황산을 모두 빼내면, 한림이엔지가 밸브 등을 교체하기로 했다”면서 “고려아연이 이날 아침 안전작업허가서를 발급했기 때문에 작업을 시작한 것이고, 이는 해당 작업 구역에서 손대지 말아야 할 배관은 없다는 뜻”이라고 반박했다.

이 근로자는 “고려아연은 사고 피해를 본 근로자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는 것처럼 관계 기관과 언론에 설명했다”면서 “부상 근로자들이 병원에서 소식을 듣고 억울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상자 증언도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사고 직후 병원에 만난 한 근로자는 “유독물질이 나올 수 있으니 고무장갑을 끼고 작업하라는 정도의 지시만 받았다”면서 “고무장갑을 끼고 맨홀 볼트를 푸는 과정에서 갑자기 황산이 뿜어져 나왔다”고 밝혔다.

작업을 피해야 할 배관 등에 대한 사전 고지는 없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