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는 임진강물 아닌 60여km 밖 팔당물 쓰고 싶다

파주는 임진강물 아닌 60여km 밖 팔당물 쓰고 싶다

입력 2015-06-05 07:43
수정 2015-06-05 07: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 댐 건설 후 수질 악화…소독약 많이 푼 수돗물 써야

경기도 파주시가 관내의 임진강 물을 놔두고 60여km 밖 남양주시 팔당댐 물을 수돗물로 쓰게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북한이 임진강 상류에 황강댐을 건설한 이후 임진강 유량이 줄어 수질이 나빠져서다. 강수량이 적은 철에는 수질이 더 안 좋다.

임진강물은 이미 소독약을 매우 많이 넣어야 수돗물로 만들 수 있는 실정이다.

5일 파주시는 ‘파주시수도정비기본계획 부분 변경안’을 지난 2일 환경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안은 파주 문산정수장 원수를 팔당댐에서 공급받아 수돗물로 공급하고 기존 문산정수장 취수원인 임진강 물은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그동안 운정신도시와 금촌택지구에는 팔당물을 원수로 사용하는 고양정수장에서, 문산읍 등 그 외 지역은 임진강물을 사용하는 문산정수장에서 각각 수돗물을 공급했다.

그러나 북한의 황강댐 건설 이후 유량이 줄어 갈수기 안정적인 물 공급이 어려운 데다 수질까지 계속 나빠지고 있다.

경기도가 연천 군남댐 하루 5.7㎞ 수위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황강댐 건설 전인 1996∼2007년 평균 평수량은 55㎥/s였다.

평수량은 ‘평상시에 하천을 흐르는 물의 양. 1년 가운데 185일간은 유지되는 수량’이다.

황강댐 건설 뒤인 2008∼2013년에는 평균 평수량이 45㎥/s로 18% 감소했다. 갈수기에는 44%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문산정수장에선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약품을 많이 사용해 수돗물을 만든다.

물론 염소이온 농도가 아직 기준치 이하다. 하지만 고양정수장 물에 비해 5∼7배에 달한다.

그동안 문산정수장은 겨울철 갈수기 때엔 팔당댐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수돗물을 공급해왔다.

그러나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니 이젠 사시사철 팔당댐물을 사용해 시 전체에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대신에 임진강물은 공업용수로 공급하려 한다.

시는 환경부 승인을 받아 이런 계획을 실현하기까지는 2년여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시 맑은물환경사업단 관계자는 “북한 황강댐 건설과 함께 장기적으로 임진강물을 취수원으로 삼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그동안 팔당물을 수돗물로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