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간선택제 신청교사 전국서 51명뿐…출발부터 ‘삐거덕’

시간선택제 신청교사 전국서 51명뿐…출발부터 ‘삐거덕’

입력 2015-01-29 11:05
업데이트 2015-01-29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6개 교육청 중 절반 ‘전무’…까다로운 조건 등으로 외면

교사와 학교가 시간선택제에 호응하지 않는 것은 무엇보다 장점이 크지 않고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사들은 시간선택제로 전환하면 근무경력, 임금보상 등에서 만족스럽지 않으므로 휴직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입장이다.

학교에서 시간선택제 교사가 많으면 기존 교사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특히 농촌 등지의 소규모 학교에서는 더욱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시간선택제 교사의 경우 부족한 수업시수를 누군가 보충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교사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며 “학교 현장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간선택제 교사들이 자칫 학교에서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도 신청을 주저하게 하는 부분이다.

경기교육청 관계자는 “시간선택제 교사제도를 하면 당장 담임교사 자원이 부족해지고 수업시간 배정 등 교육과정 운영에 문제가 생긴다”며 “개별교사들의 신청 문의는 있었지만 실제로 신청한 교사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신청자가 있는 교육청도 이른바 ‘짝 맞추기’가 고민이다.

한 학교에 전일제 교사 1명을 새로 배치하려면 시간선택제를 신청하는 교사가 2명이 돼야 한다.

학교당 신청자가 1명에 불과하면 시간선택제를 아예 운영할 수 없고 3명 이상 홀수여도 남는 인원이 생긴다.

중·고교 교사의 경우 한 학교에서 신청교사들의 과목이 같아야 전일제 교사의 투입이 가능하다. 학교당 보통 한 명에 불과한 체육전담 교사는 사실상 신청이 불가능한 셈이다.

여기에 아직 홍보가 아직 충분히 되지 않아 교사들의 이해도가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간선택제 교사제도가 시행 초기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예고된 일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교원단체는 지난해 시간선택제 교사제도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재검토를 촉구해왔고 교대생들은 항의하는 대규모 집회와 동맹휴업까지 했다.

시간선택제 교사는 수업 단절 등으로 교육 현장의 파행을 초래하고 동료교사, 학생들과의 관계 형성이 어려워 안정적인 교육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