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영해 기점 23곳 중 하나인 충남 태안군 근흥면 격렬비열도가 개인의 사유지여서 외국인이 매입을 시도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23일 태안군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서쪽 영해의 기점 중 한 곳인 격렬비열도는 동격렬비도, 서격렬비도, 북격렬비도 등 3개의 섬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북격렬비도는 소유주가 산림청으로 이곳에 설치된 등대가 오는 10월께 유인화된다.
하지만 면적 27만7천686㎡의 동격렬비도와 12만8천903㎡의 서격렬비도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국토의 최서단인 서격렬비도는 몇년전 중국인들이 20억원에 매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태안군에 따르면 서격렬비도 소유주의 지인은 2012년 태안군청에 찾아와 “중국인들이 이 섬을 20억원에 매입하려 하고 있지만 소유주가 매각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을 접한 태안군은 영해 기점인 서격렬비도가 외국인 특히 어업분쟁이 잦은 중국인에게 넘어갈 경우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판단해 해양수산부에 이 섬의 매입을 건의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섬의 감정가를 산정해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 섬의 소유주는 2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최근 들어 별다른 매각 움직임은 없지만 해양수산부는 격렬비열도의 군사적, 어업적 가치를 감안해 장기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태안군의 한 관계자는 “최근들어 매각 움직임은 없지만 매각이 추진될 경우 개인들 간 거래를 막을 근거가 없어 고심하고 있다”며 “해양수산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태안반도에서 55㎞ 떨어진 격렬비열도는 1994년 등대를 관리하던 직원들이 정부 방침에 따라 철수하면서 무인도가 돼 20년간 방치됐다.
하지만 중국의 불법어업을 막고 향후 영해 관련 분쟁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 해양수산부가 유인화를 결정하면서 올해부터 다시 사람이 살게 됐다.
연합뉴스
23일 태안군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서쪽 영해의 기점 중 한 곳인 격렬비열도는 동격렬비도, 서격렬비도, 북격렬비도 등 3개의 섬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북격렬비도는 소유주가 산림청으로 이곳에 설치된 등대가 오는 10월께 유인화된다.
하지만 면적 27만7천686㎡의 동격렬비도와 12만8천903㎡의 서격렬비도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국토의 최서단인 서격렬비도는 몇년전 중국인들이 20억원에 매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태안군에 따르면 서격렬비도 소유주의 지인은 2012년 태안군청에 찾아와 “중국인들이 이 섬을 20억원에 매입하려 하고 있지만 소유주가 매각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을 접한 태안군은 영해 기점인 서격렬비도가 외국인 특히 어업분쟁이 잦은 중국인에게 넘어갈 경우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판단해 해양수산부에 이 섬의 매입을 건의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섬의 감정가를 산정해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 섬의 소유주는 2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최근 들어 별다른 매각 움직임은 없지만 해양수산부는 격렬비열도의 군사적, 어업적 가치를 감안해 장기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태안군의 한 관계자는 “최근들어 매각 움직임은 없지만 매각이 추진될 경우 개인들 간 거래를 막을 근거가 없어 고심하고 있다”며 “해양수산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태안반도에서 55㎞ 떨어진 격렬비열도는 1994년 등대를 관리하던 직원들이 정부 방침에 따라 철수하면서 무인도가 돼 20년간 방치됐다.
하지만 중국의 불법어업을 막고 향후 영해 관련 분쟁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 해양수산부가 유인화를 결정하면서 올해부터 다시 사람이 살게 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