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할머니 별세뉴스에 도넘은 악플…누리꾼 분노

위안부할머니 별세뉴스에 도넘은 악플…누리꾼 분노

입력 2013-08-12 00:00
수정 2013-08-12 1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향년 87세 일기로 별세한 이용녀 위안부 피해 할머니 기사에 달린 도 넘은 악플들이 누리꾼의 분노를 사고 있다.

12일 포털과 각종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위안부 이용녀 할머니 기사 댓글들.jpg’라는 제목으로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수준의 댓글들을 캡처한 사진이 나돌고 있다.

캡처한 사진은 ‘위안부 피해 이용녀 할머니 별세…향년 87세’라는 연합뉴스의 기사에 달린 악플들이다.

4천여 개의 댓글은 대부분 할머니의 별세를 애도하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악플에는 ‘창녀’, ‘더러운 여자’ 등 단어가 사용돼 일본에 강제징용된 정신근로대를 모욕하는 내용들이 포함돼 있다.

누리꾼들은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플에 분노하며 성토했다.

인터넷 아이디(ID) ‘able****’은 ‘어떻게 이런 기사에 이런 막말들이 올라오지? …진심으로 짜증 나고 쪽팔려 죽겠다’, ‘cas5****’은 ‘오전에 악플 달았던 분들 다 소용없습니다. 전부 캡처했고’라는 등의 글을 달았다.

1995년부터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던 고(故) 이용녀 할머니는 일본군의 비인도적 만행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 앞장섰다.

아들 곁에서 지내고 싶어 지난해 말 나눔의 집을 나온 할머니는 지난 11일 포천의료원에서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한편 2011년에는 한 일본 유학생이 유명 포털사이트에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한 글을 올려 경찰에 고발당하기도 했다.

이 유학생은 뒤늦게 해당 글을 삭제하고 사죄의 글을 여러 차례 게시했으며 가족들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피해자 단체를 찾아가 사죄해 고발은 취하됐다.

연합뉴스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서울대공원의 대형 주차장 운영 방식을 둘러싼 특정 사업자 특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6일 2025년도 서울대공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8월 만료되는 대형 주차장 운영 계약을 둘러싼 감사원 지적 사항 미이행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감사원이 ‘사용 수익허가’ 방식의 부적절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관리 위탁’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권고했음에도, 서울대공원은 이를 무시한 채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주차장의 계약 만료가 임박했는데 감사 결과도 모르고 나왔느냐”며 질타했지만, 서울대공원장은 “공유재산법 절차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답변만 반복했고, 감사 내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해 논란을 키웠다. 이 의원이 공개한 감사원 보고서에는 “주차장 부지 사용수익허가 방식이 아닌, 관리 위탁 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공유재산의 적정한 관리와 공정한 경쟁 확보 측면에서 현행 방식은 위법 소지가 크다고 판단한다. 이 의원은 서울대공원의 미흡한 대응에 대비해 법률 자문을 의뢰했고 “사용수익허가 만료 후 동일 사업자에 대한 재허가 의무는 없다”고 해석했다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서울대공원, 카카오 주차장 감사원 지적에도 ‘수수방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