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못 보내”…방화대교 사고 희생자 영결식

“이렇게 못 보내”…방화대교 사고 희생자 영결식

입력 2013-08-04 00:00
수정 2013-08-04 1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동포 故 최창희 씨 유족, 운구차량 매달려 오열

“이제 어떻게 살아…아빠, 가지 마!”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장례식장. 자주색 천으로 두른 관이 실려 나오자 故 최창희(52) 씨의 딸 미란 씨는 그제야 아버지를 잃었다는 사실을 실감한 듯 오열했다.
방화대교 공사현장에서 숨진 중국동포 고(故) 최창희(52)씨의 영결식이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방화대교 공사현장에서 숨진 중국동포 고(故) 최창희(52)씨의 영결식이 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영정 사진을 든 아들 국봉 씨도 지하 빈소에서 영결식장까지 28개의 계단을 오르는 동안 연신 바닥만 바라보며 참던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지난달 30일 서울 방화대교 공사현장에서 숨진 중국 동포 근로자 최씨의 영결식은 부인 박계화 씨 등 유족 4명과 지인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앞서 수많은 추모 인파가 몰렸던 노량진 수몰사고 희생자들의 합동 영결식에 비하면 규모가 단출했고, 그래서 더욱 쓸쓸했다.

지하에 마련된 260여㎡ 넓이의 빈소 역시 많은 사람의 다녀간 흔적을 찾기 어려웠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조화만 덩그러니 남아 애잔한 분위기를 더했다.

뒤늦게 소식을 듣고 달려온 지인 몇몇은 어찌 된 영문인지 모르는 표정을 하다 최씨의 주검이 담긴 관을 보고서야 허탈한 표정으로 눈물을 내보였다.

숨진 최씨와 함께 일한 적이 있다는 한 40대 남성은 “가족만 생각하며 성실하게 일하던 사람이 이런 변을 당하다니 하늘이 원망스럽다”며 고개를 떨어뜨렸다.

이윽고 운구차량의 뒷문이 열리고 병원 직원들이 관을 실으려 하자 장례시장 주차장은 일제히 울음바다가 됐다.

부인 박씨는 한참을 관을 부여잡고 통곡했고 나머지 유족들도 뒤따라 오열하며 벽제 추모공원으로 향하려는 운구 차의 출발을 막았다.

이날 영결식장에는 김병하 서울시 행정2부시장 내정자를 비롯한 서울시 관계자들과 시공사 금광기업 관계자들도 참석해 최씨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서울시는 장례 절차를 맡았고 시공사 측은 모든 비용을 댔다.

한편 최씨와 함께 공사현장에서 숨진 중국 동포 허동길(50) 씨는 전날 같은 장소에서 따로 영결식을 치렀다.

서울시 관계자는 “유족들이 따로 영결식을 하기로 해 따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