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소녀상 반대는 역사교육 못 받은 탓”

“일본인 소녀상 반대는 역사교육 못 받은 탓”

입력 2013-07-29 00:00
수정 2013-07-29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일 ‘평화의 소녀상’ 제막 주도한 美캘리포니아 킨테로 시의원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조각가 김운성(왼쪽·49), 김서경(48)씨 부부가 2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인근 글렌데일에서 소녀상 설치 작업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놓인 소녀상을 만든 김씨 부부가 똑같이 새로 만든 것으로, 미국에 설치된 소녀상에는 위안부의 역사를 설명하는 석판이 딸려 있다. 글렌데일 연합뉴스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조각가 김운성(왼쪽·49), 김서경(48)씨 부부가 2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인근 글렌데일에서 소녀상 설치 작업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놓인 소녀상을 만든 김씨 부부가 똑같이 새로 만든 것으로, 미국에 설치된 소녀상에는 위안부의 역사를 설명하는 석판이 딸려 있다.
글렌데일 연합뉴스
“소녀상 건립에 반대한 일본인은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오는 30일(현지시간)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고발하는 ‘평화의 소녀상’ 제막을 앞둔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의회의 프랭크 킨테로 시의원(67)은 단호한 목소리로 소녀상 건립 당위성을 이렇게 강조했다. ‘평화의 소녀상’이 해외에 세워지는 것은 처음으로, 킨테로 시의원 등 5명으로 구성된 시의회에서 소녀상 건립을 주도했다. 27일 소녀상이 세워지는 글렌데일 도서관 앞 공원에서 만난 킨테로 시의원은 “시내에서 시민의 왕래가 잦은 곳에 소녀상이 세워져 더 많은 시민이 올바른 역사를 알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프랭크 킨테로
프랭크 킨테로
다음은 킨테로 의원과의 일문일답.

→동아시아의 현대사를 잘 아는가.

-아버지는 2차 세계대전 때 아시아에서 싸웠고 사촌은 한국전쟁 참전 용사다. 나는 베트남전쟁에 참전했다.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어떻게 알게 됐나.

-오래전부터 2차 대전 때 일본의 점령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고 있었다. 위안부에 대해서는 5년 전 지역 한인 커뮤니티를 통해 자세히 알게 됐다. 특히 한국을 두 차례 방문했을 때 구체적인 증거와 증언을 들었다.

→소녀상을 글렌데일 시유지에 세우자는 제안을 받았을 때 어땠나.

-아무런 주저가 없었다. 옳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동료 시의원들에게 설명했더니 다들 동감했다.

→일본계 주민의 반대가 심했는데.

-분명히 하자. 일본계 주민이라면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일본계 미국인이 있고 일본에서 건너온 일본 사람이 있다. 소녀상을 세우는 데 반대한 사람의 99.99%는 일본에서 건너온 사람들이다. 미국에서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받지 않았다. 미국 연방 정부와 글렌데일 시정부는 위안부에 대해 반인륜적 범죄라고 규정했다.

→글렌데일 시민이 소녀상을 보면서 무엇을 얻길 바라나.

-소녀상은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요지에 들어선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위안부에 대해 올바른 역사를 더 많이 알게 됐으면 좋겠다.

로스앤젤레스 연합뉴스·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2025년 서울시의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 지원 사업 대상지로 지정되기 위한 첫걸음으로, 모래내 영세 상권을 정책 지원 대상으로 편입해 상권 활성화 및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인근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최됐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법규를 설명했다. 골목형상점가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25개 이상(서대문구 조례 기준) 밀집한 구역이 지정 대상이다. 김 의원은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에 준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에 참여가 가능하다”라며 “특히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지정 시 일 평균 매출액이 미가입 점포 대비 약 26% 증가하는 등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신이 소속된 기획경제위원회 소관 부서인 서울시 민생노동국과 서울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신용보증재단 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모래내시장 골목형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2013-07-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