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으로 변신한 특급 호텔 쉐프

서울시 공무원으로 변신한 특급 호텔 쉐프

입력 2013-04-20 00:00
수정 2013-04-20 1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원순 시장님은 요즘 건강을 위해 소식(小食)하고 계세요. 제가 해 드린 음식 중에는 게장을 맛있게 드시더라고요.”

17년간 특급호텔 쉐프로 일하다 서울시 계약직 공무원으로 입사해 5년째 시장단 만찬부터 간담회까지 각종 행사요리를 책임져온 권혁준(42) 주무관은 박 시장의 작은 식습관까지 꿰고 있었다.

한식을 전공한 권 주무관은 17년 동안 이태원 캐피탈호텔, 종로 세종호텔, 강남 임페리얼팰리스호텔 등에서 쉐프로 활동하다 2009년 친구 추천으로 서울시에 지원서를 냈다.

권 주무관은 2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형도 경찰, 처가 쪽도 검찰, 공무원 집안이라 저 혼자 요리한다니까 시선이 곱지 않았는데 결국 저도 공무원이 됐다”고 웃으며 말했다.

그는 어렸을 때 누나가 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나서 3형제 뿐이었던 데다 부모님이 농사지은 쌀부터 오이까지 집안에 음식재료가 다양해 자연스럽게 요리에 흥미를 느끼게 됐다고 한다.

방송사 요리 프로그램이나 강연을 통해 ‘스타쉐프’가 속출하는 요즘이지만, 권 주무관은 ‘현장’에 있을 때 가장 즐겁다고 강조했다. 호텔보다 서울시가 더 재밌고 보람있다는 얘기도 빼놓지 않았다.

권 주무관은 “국회의원부터 외국 사절단까지 외부 손님이 왔을 때 시장이 구내식당으로 데려가면 처음에는 실망하다가 내가 만든 코스요리를 맛보고 다들 놀랄 때 뿌듯하다”고 말했다.

시장의 격려도 큰 힘이 된다. 권 주무관은 “멀게만 느껴지던 오세훈 전 시장이 만찬 자리에 불러 손뼉을 쳐준 일, 박 시장이 귀한 손님이 올 때마다 직접 저를 자랑했던 일이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공무원 생활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1인당 최고 3만원 예산 내에서 대여섯 가지의 코스요리를 매번 새롭게 준비하는 게 빠듯하다고 한다.

권 주무관은 “대하찜 냉채, 메로구이, 자연산 송이 갈비찜 등 다양한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데 호텔에 있을 때는 전화 한 통이면 됐지만, 지금은 직접 노량진 수산시장에 나가기도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허락하는 한 요리할 수 있을 때까지 남고 싶다는 권 주무관. 조찬과 만찬 행사가 맞물리는 날이면 오전 6시에 나와 오후 9시가 훌쩍 넘어 퇴근하기 때문에 정작 집에서는 요리를 잘 못한다고 털어놨다.

“처음 결혼했을 때는 자주 했었는데 쉽지 않네요. 아내 생일 같은 날 집에서도 코스 요리 좀 선보여야겠어요.”

연합뉴스


서울시의회 마약예방특위 “서울 중고생, 마약예방교육 지루하고 형식적 40%”

서울시의회 마약퇴치 예방교육 특별위원회 이종배 위원장(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서울시교육청에 요청해 실시한 ‘중·고등학생 마약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청소년 마약 문제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우리 사회 생존이 걸린 문제다. 지금과 같은 형식적 예방 교육으로는 절대 막을 수 없다”고 강하게 경고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1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시내 중·고등학생 1만 6139명이 참여했으며, 학생들의 마약 인식, 호기심 정도, 예방 교육의 실태와 효과, 개선 요구를 폭넓게 담고 있다. 인식 조사에서는 우선 ‘마약’ 하면 매우 위험한 범죄라고 인식한 응답이 53.4%로 가장 많았으나, 단순히 “건강에 해로운 물질”이라고 여긴 학생이 34.1%에 달했다. 이는 마약의 치명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을 드러낸다. 마약 사용의 결과에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서도 건강 악화(40.6%)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범죄 연루(29.5%)를 꼽아, 마약 사용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마약에 대한 호기심을 묻는 문항에서는 호기심을 전혀 가져본 적 없다는 학생이 81.7%로 가장 많았지만, “가끔 궁금했다”는 응답도 16.
thumbnail - 서울시의회 마약예방특위 “서울 중고생, 마약예방교육 지루하고 형식적 40%”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