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물가 ‘껑충’…5천원엔 목욕도 못해

서민물가 ‘껑충’…5천원엔 목욕도 못해

입력 2012-10-04 00:00
수정 2012-10-04 06: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민생활 밀접 30개 품목 1년간 평균 4.6% 상승

지난 1년간 서민물가가 크게 올라 5천원 갖고는 목욕을 하기도 버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30개 품목의 1년간 가격 상승률은 4.6%에 달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2%의 2배를 웃돌았다.

4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조사한 ‘9월 주요 서민생활물가’에 따르면 지방공공요금 7개 품목이 평균 6.3%, 농축수산물 10개 품목이 5.6%, 외식비 8개 품목이 2.0%, 개인서비스 요금 5개 품목이 4.1% 오르는 등 서민생활 관련 30개 품목의 가격은 1년간 평균 4.6% 올랐다.

품목별로 목욕료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평균 5천101원으로 1년 전 4천861원에 비해 240원(4.9%) 오르며 5천원을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목욕료가 5천727원으로 가장 비쌌고 경기(5천668원)가 뒤를 이었다.

미용료(여성 커트)는 1만1천429원으로 1년 만에 561원(5.2%) 올랐고, 이용료(남성 커트)는 1만588원으로 같은 기간 291원(2.8%) 상승했다. 세탁료(신사복 상하 드라이크리닝·다림질 포함)는 6천315원으로 142원(2.3%), 여관 숙박료는 3만5천91원으로 1천770원(5.3%) 각각 뛰었다.

외식비에서는 비빔밥이 1년 새 5천967원으로 204원(3.5%)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삼계탕은 1만1천500원으로 328원(2.9%), 냉면은 6천639원으로 181원(2.8%), 김치찌개 백반은 5천493원으로 132원(2.5%), 칼국수는 5천595원으로 129원(2.4%) 각각 상승했다.

5천원 이하로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서민 외식품목은 2천811원 하는 김밥 1줄이나 4천101원인 자장면 한 그릇뿐이다.

올해 들어 태풍이 연이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농축수산물 가격도 급등했다. 배추값(1kg)은 1천32원(작년 10월 기준)에서 1천771원으로 739원(71.6%)이나 올랐고 무값(1kg)은 1천90원으로 175원(19.1%) 상승했다.

반면 돼지고기(삼겹살 500g)는 9천581원으로 1천586원(14.2%) 내렸다. 달걀(10개)은 1천954원으로 208원(9.6%), 콩(1kg)은 1만428원으로 890원(7.8%)씩 하락했다.

공공요금은 작년 하반기와 올해 초 서울시와 경기도의 요금 인상으로 크게 올랐다. 도시가스료는 1만192원으로 967원(10.5%) 뛰었고, 시내버스요금은 성인 카드기준 1천76원으로 76원(7.6%), 전철요금은 1천75원으로 101원(10.4%) 각각 상승했다. 하수도료(가정용)도 3천980원으로 396원(11.0%) 뛰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