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0병상…市 “동부시립병원까지 확대 추진”
서울의료원이 다음 달부터 전체 병상의 36%가 보호자 없이 간호사가 관리하는 ‘환자안심병원’으로 운영된다.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료원은 내달부터 전체 630병상 중 격리병상, 중환자실, 경증환자, 가족의 간병을 원하는 환자가 쓸 병상 등을 제외하고 230병상을 보호자 없이 운영한다.
’환자안심병원’은 지난 7월 박원순 시장이 의료예산을 1천억원 증액, 생애주기별 의료정책을 펴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세부사업이다.
환자안심병원은 보호자가 환자 곁에 상시 머무를 필요가 없도록 간호 1등급의 간호사들이 24시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1대 18인 간호사 대비 환자 비율을 일본과 같은 수준인 1대 7까지 낮춰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보호자 없는 병상을 늘릴 경우 간호사 146명, 병원보조 66명, 사회복지사 6명, 행정직 4명 등 총 222명의 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력충원은 간호사협회의 협조를 받아 공채형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예산은 주로 간호사와 병원보조 인건비 등 매년 71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정책 발표 당시 직원들의 처우 개선 문제가 대두된 것에 대해서도 월급은 정해진 보수규정대로 하되 숙소를 제공하는 등 복리후생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시 관계자는 “환자안심병원 운영으로 병상 가동률이 80%에서 9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회전율이 늘면 외래환자와 병원 수입은 증가하고 시 보조금 규모는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내년 말까지 서울의료원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동부시립병원에도 환자안심병원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경영과 환자 증가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시범사업기간을 좀 길게 잡았으며, 현재 시의회 등을 상대로 환자안심병원 사업의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