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교통유발부담금 최다 건물은 타임스퀘어

서울 교통유발부담금 최다 건물은 타임스퀘어

입력 2012-09-18 00:00
수정 2012-09-18 04: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별 부과금액은 강남구…부담금 인상계획 답보

지난해 서울에서 교통유발부담금을 가장 많이 낸 건물은 영등포구에 있는 타임스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유발부담금은 교통 혼잡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부담금은 대중교통 확충 등에 사용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시내 자치구가 부과한 교통유발부담금은 모두 860억100만원으로, 2010년 830억원보다 약 3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가장 많은 부담금을 납부한 건물은 10억1천100만원을 낸 영등포구의 타임스퀘어로 2010년에 이어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부과 금액도 2010년 9억5천500만원보다 5천600만원이 증가했다.

2위는 서초구의 센트럴시티빌딩(4억9천200만원)이 차지했으며, 송파구 서울아산병원(4억1천400만원), 용산구 현대아이파크몰(3억9천600만원), 강남구 코엑스 컨벤션 센터(3억7천3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2010년에는 타임스퀘어에 이어 센트럴시티빌딩(6억3천만원), 송파구 롯데쇼핑(4억3천100만원), 서울아산병원(4억400만원), 현대아이파크몰(3억5천100만원) 순이었으나 지난해 롯데쇼핑이 빠지고 코엑스 컨벤션 센터가 5위권 안에 새로 진입했다.

자치구별 부과금액은 강남구가 160억1천8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영등포구(79억7천100만원)와 중구(78억1천500만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도봉구(8억8천200만원), 강북구(9억2천600만원), 은평구(9억4천500만원) 순으로 부담금 부과금액이 적었다.

올해 교통유발부담금은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에 따라 10월 중 부과, 징수된다.

시는 1996년 정해진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기준이 15년간에 걸친 물가 상승과 교통환경 변화 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국토해양부와 부담금 인상 방안을 꾸준히 논의해왔다.

시는 1㎡당 350원 받는 부담금을 1천원까지 올리고, 지자체의 인상 조정권도 2배까지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부담금 인상에 관한 용역을 마치고 서울시의 안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는 방침을 확정했지만 기획재정부 부담금심의위원회에서 통과시켜야 하는데 경기 등을 이유로 계속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희원 서울시의원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 5억 6100만원 확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이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에서 동작구 관내 7개교에 대한 예산 총 5억 6100만원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확보한 주요 사업 예산은 은로초등학교의 미래 교육 환경 구축을 위한 시청각실 게시 시설(LED멀티비전) 개선 예산 1억 2500만원과 삼일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학 안전과 편의를 위한 정·후문 시설 개선 3500만원 등이다. 이 의원은 이 밖에도 ▲장승중 옥상 난간 등 위험 시설 개선 2500만원 ▲장승중 미끄럼 방지 시설 개선 2000만원 ▲서울공고 방진 시설 개선 1억 2000만원 ▲서울공고 배수시설 개선 4900만원 ▲영등포고 시청각실 게시 시설 개선 1억 3000만원 ▲성남고 운동장 스탠드 개선 3700만원 ▲동작중 미끄럼 방지 시설 개선 2000만원 등의 예산을 확보했다. 이 의원은 “그간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으로서 학교 안전과 교육 시설 현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라며 “앞으로도 쾌적한 면학 환경 조성을 위해 부모님들과 학생들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아직 관내에 시설이 노후한 학교가 다수 있는 만큼, 서울시교육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2025년 서울시교육청 제1차 추가경정예산 5억 6100만원 확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