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교통유발부담금 최다 건물은 타임스퀘어

서울 교통유발부담금 최다 건물은 타임스퀘어

입력 2012-09-18 00:00
수정 2012-09-18 04: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별 부과금액은 강남구…부담금 인상계획 답보

지난해 서울에서 교통유발부담금을 가장 많이 낸 건물은 영등포구에 있는 타임스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유발부담금은 교통 혼잡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며, 부담금은 대중교통 확충 등에 사용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시내 자치구가 부과한 교통유발부담금은 모두 860억100만원으로, 2010년 830억원보다 약 3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가장 많은 부담금을 납부한 건물은 10억1천100만원을 낸 영등포구의 타임스퀘어로 2010년에 이어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부과 금액도 2010년 9억5천500만원보다 5천600만원이 증가했다.

2위는 서초구의 센트럴시티빌딩(4억9천200만원)이 차지했으며, 송파구 서울아산병원(4억1천400만원), 용산구 현대아이파크몰(3억9천600만원), 강남구 코엑스 컨벤션 센터(3억7천3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2010년에는 타임스퀘어에 이어 센트럴시티빌딩(6억3천만원), 송파구 롯데쇼핑(4억3천100만원), 서울아산병원(4억400만원), 현대아이파크몰(3억5천100만원) 순이었으나 지난해 롯데쇼핑이 빠지고 코엑스 컨벤션 센터가 5위권 안에 새로 진입했다.

자치구별 부과금액은 강남구가 160억1천8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영등포구(79억7천100만원)와 중구(78억1천500만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도봉구(8억8천200만원), 강북구(9억2천600만원), 은평구(9억4천500만원) 순으로 부담금 부과금액이 적었다.

올해 교통유발부담금은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에 따라 10월 중 부과, 징수된다.

시는 1996년 정해진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기준이 15년간에 걸친 물가 상승과 교통환경 변화 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국토해양부와 부담금 인상 방안을 꾸준히 논의해왔다.

시는 1㎡당 350원 받는 부담금을 1천원까지 올리고, 지자체의 인상 조정권도 2배까지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부담금 인상에 관한 용역을 마치고 서울시의 안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는 방침을 확정했지만 기획재정부 부담금심의위원회에서 통과시켜야 하는데 경기 등을 이유로 계속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