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노숙인 강제퇴거 효과 미미…1년간 22명↓

서울역 노숙인 강제퇴거 효과 미미…1년간 22명↓

입력 2012-08-21 00:00
수정 2012-08-21 1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내 전체 노숙인 수도 그대로…서울시 ‘희망원룸’ 추진

코레일이 서울역 일대 노숙인의 강제 퇴거 조치를 한 지 1년이 됐지만 이 일대 노숙인 수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시가 코레일의 강제 퇴거 조치를 전후해 상담·응급구호 활동, 주거·일자리 지원, 쉼터 확대 등 다양한 노숙인 지원정책을 내놨으나 실제 시내 전체 노숙인 감소에는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역에서 생활하는 노숙인은 251명으로, 코레일이 강제 퇴거 조치를 한 지난해 8월22일 이전의 273명에서 22명 감소하는데 그쳤다.

서울역 노숙인 수는 강제 퇴거 조치 직후인 작년 9월초 184명까지 줄었지만 이후 증가세로 반전됐다.

시 관계자는 “강제 퇴거 조치 당시 서울역 노숙인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가 상당수 서울역으로 되돌아온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겨울 혹한기에 서울역 지하보도 내 응급구호방을 운영해 오히려 다른 지역에서 노숙인이 유입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내 노숙인 밀집지역의 노숙인 수도 현재 모두 594명으로 지난해 이맘때와 같았다.

이처럼 코레일의 강제 퇴거 조치와 시의 지원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역 일대를 비롯한 시내 전역의 노숙인 수가 크게 줄지 않은 데에는 시의 관련 예산 부족과 시민의 반발, 노숙인의 자활 의지 부족 등이 복합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시 자활지원과의 1년 예산은 노숙인, 쪽방촌 주민 등 관련 사업을 모두 포함해 1천100억여원에 불과하다”며 “내년에 관련 예산을 60억원 가량 늘릴 예정이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시가 지난해 서울역 인근에 자율형 쉼터인 ‘자유카페’를 세우기로 하고 10여 차례 설명회를 했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계획이 취소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시는 노숙인에게 고시원 등을 고쳐 만든 임시 주거시설인 ‘희망원룸’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노숙인에게 ‘희망원룸’에 입소하는 조건으로 거리청소, 급식보조 등 가벼운 일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식 일자리도 알선할 계획이다.

전문가의 재능기부로 이뤄지는 ‘희망의 인문학 강좌’를 운영하고 중고 스마트폰 보급이나 ‘저축왕’ 선발 등과 같은 지원사업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