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ㆍ청원군, 행정구역 통합 확정

청주시ㆍ청원군, 행정구역 통합 확정

입력 2012-06-28 00:00
수정 2012-06-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원군 주민투표 투표율 36.75%, 찬성 79.03%2014년 7월 통합시 출범

동일 생활권인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이 마침내 행정구역 통합을 이뤄 냈다.

청원군선거관리위원회는 27일 실시된 청원군 주민투표 결과 유효투표자의 79.03%(3만4천725표)가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7일 오후 8시 30분께 충북 청원군 청원군민회관에서 청주와 청원의 통합을 결정하는 주민투표용지를 관계자가 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오후 8시 30분께 충북 청원군 청원군민회관에서 청주와 청원의 통합을 결정하는 주민투표용지를 관계자가 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체 유권자 12만240명 중 4만4천190명이 투표해 36.75%의 투표율을 기록했고 유표투표수는 4만3천937표이었다.

주민투표법에 따르면 투표율이 33.3%를 넘은 상황에서 개표해 유효투표자의 과반이 찬성하면 주민투표에 부쳐진 내용이 확정된다.

이로써 청주시와 청원군은 예정대로 2014년 7월 ‘통합시’를 출범시킬 수 있게 됐다.

청주시는 주민투표를 하지 않고 지난 21일 시의회의 만장일치 찬성 의결로 통합의사를 확인했다.

주민투표를 통해 기초자치단체끼리 행정구역을 합친 것은 2004년 주민투표법 제정 이후 처음이다.

두 지자체는 1994년, 2005년, 2010년에도 통합을 시도했으나 청원군민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었다.

두 지역은 원래 청주목, 청주군, 청주읍 등으로 불린 한 고장이었으나 1946년 미군정 법령에 따라 청주부(청주시 전신)와 청원군으로 갈렸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앞으로 통합시 명칭과 시청사 위치를 협의하면서 통합시 설치법을 제정하는 등 후속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통합시 명칭은 공모나 여론조사를 통해, 시청사 위치는 전문기관 연구용역을 통해 각각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현재 인구 83만명(청주 67만명, 청원 16만명)을 100만명까지 늘려 통합시를 중부권 핵심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민선5기 출범 이후 청주ㆍ청원 통합 논의를 주도해 온 이시종 충북지사는 “위대한 결단을 내려준 청원군민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통합 성사로 청주와 청원이 중부권시대, 신수도권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