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 중 8명 “70세 넘어야 노인”

노인 10명 중 8명 “70세 넘어야 노인”

입력 2012-06-22 00:00
수정 2012-06-22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녀와 동거율↓… 17년새 반토막

65세 이상 노인 10명 가운데 8명은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여겼다. 또 노인의 68%는 자녀와 따로 생활하며, 30%가량은 우울 증상을 보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1일 보건복지부의 의뢰에 따라 전국 만 65세 이상 1만 15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1년 노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의 5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74세로 꼽았다. 13.3%는 80세 이상을, 12.9%는 65~69세를, 11.3%는 75~79세를 노인으로 봤다. 통상 노인의 기준인 65세를 인정하지 않은 셈이다. 복지부의 조사는 서울시가 노인의 명칭을 대체하기 위해 공모한 것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연령기준을 고쳐 복지 체계를 정리하려는 의도도 적지 않다.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 가구의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다. 노인 가구의 68.1% 가운데 독거가구는 19.6%, 부부가구는 48.5%로 나타났다. 1994년 40.4%, 2004년 55.0%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반면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가구는 27.3%로 1994년 54.7%, 2004년 38.6%였던 것에 비해 줄어드는 추세다.

연간 가구소득은 독거가구가 841만원, 노인부부 가구가 1798만원, 자녀 동거 가구가 3763만원으로 집계됐다. 노인가구가 소득에서도 취약했다. 노인 취업률은 34.0%로, 1994년 이후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직종은 농·축·수산업이 52.9%, 단순노무직이 26.1%다. 노인들이 직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79.4%가 생계비 마련 때문이었다.

노인의 88.5%는 만성질환을 갖고 있었다. 고혈압이 54.8%, 관절염이 40.4%, 당뇨병이 20.5%다.

노인의 12.7%는 학대를 경험했고, 29.2%는 우울증상을 보였다. 노인 11.2%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실제 자살을 시도한 노인은 1.3%에 이르렀다. 자살을 생각한 이유는 32.7%가 건강, 30.9%가 경제적 어려움, 15.3%가 가족·친구와의 갈등 및 단절, 10.3%가 외로움을 들었다. 복지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소득·건강·여가·인권 등 분야별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2025년 제1회 서울시 추가경정예산에 노원구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총 33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전반적인 긴축 편성 기조 속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 공공의료와 복지 강화, 노후 인프라 정비 등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향으로 잡아 전체적으로는 신규 편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봉 의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노원구 지역의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예산 확보에 성공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끌어냈다. 특히 이번 노원구 지역 예산에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 보행환경 개선, 주민 여가공간 재정비 등 일상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돼 온 수요를 반영한 사업들로 노후 인프라를 개선하여 실제 생활 불편 해소와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내용들이다. 주요 예산 확보 내역은 ▲한글비석로 보행환경 개선사업 9억 7000만원 ▲월계동 923-1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5억원 ▲상계로 35길 87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8억 5000만원 ▲어울림공원 재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10억원 등이다
thumbnail -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2012-06-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