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65년만의 귀향] 끝없는 DNA 검사… 유가족 샘플과 일치 확인

[65년만의 귀향] 끝없는 DNA 검사… 유가족 샘플과 일치 확인

입력 2012-05-26 00:00
업데이트 2012-05-26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故이갑수·김용수 일병 신원확인 어떻게

62년 만에 귀향한 이번 6·25 전사자 유해 중 이갑수·김용수 일병의 신원이 밝혀진 과정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다. 이는 전사자 유해 발굴에 관한 최고의 노하우를 지닌 미국 ‘합동전쟁포로실종자사령부’(JPAC)와 우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모두 주연이 된 합작품이다.

미국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 장진호 지역 등에서 유해 발굴 사업을 벌이면서 233구를 발견했고, 이를 하와이의 JPAC 본부에서 수년간의 DNA 검사를 통해 신원 확인 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JPAC 측은 2004년 장진호 전투 현장에서 확보한 아시아계 유해들을 따로 분류했으며 이 중 유해 12구가 한국군의 것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李일병 인식표로 한국군 카투사 밝혀

이 같은 단서가 된 것은 유해에 붙어 있던 이갑수 일병의 인식표. 군인이 전장에서 지녀야 할 필수 품목으로 전사할 경우 신원을 증명할 인식표에 새긴 이름이 미군 장병의 것이라기보다 한국군 카투사일 가능성을 인지한 JPAC는 이 사실을 지난해 8월 우리 정부에 통보했다. 군 관계자는 25일 “12구의 유해들은 발굴 당시 많은 미군 유해들과 뒤섞였으며 유해 개체 분류 과정에서 미군 유해의 일부로 오인돼 미국으로 반출됐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당시 미국의 통보를 받고 이갑수 일병의 연고지를 중심으로 열흘간 유족을 수소문한 끝에 아들과 딸이 부산 지역에 생존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이후 이들의 DNA를 채취해 아들인 이영찬씨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金일병과 1만9000개 DNA 샘플 일일이 대조

김용수 일병의 유해 확인은 좀 더 어려운 과정을 거쳤다. 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사전에 1만 9000여개에 이르는 유가족 DNA를 확보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군 관계자는 김 일병의 친형인 김용환(2011년 작고)씨가 사전에 DNA 샘플을 제공한 덕분에 확인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이후 국방부와 JPAC가 공동 감식을 통해 1만 9000여개의 샘플을 일일이 대조하는 작업을 거치면서 친형·장조카의 DNA와 일치한다는 결과를 내린 것이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5-26 3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